증권
SNS 광고 막힌 비트코인, 이틀째 곤두박질
입력 2018-03-28 17:44  | 수정 2018-03-28 19:49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위터가 가상화폐 광고에 대한 규제를 발표하며 시장이 또 한 번 출렁였다. 트위터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전 세계 트위터 플랫폼에서 가상화폐공개(ICO)·토큰 판매 등 광고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여파로 가상화폐 가격은 28일까지 이틀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트위터는 공식 계정을 통해 "ICO와 가상화폐 판매 관련 광고를 전 세계적으로 금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대변인은 "우리는 이러한 유형의 콘텐츠가 종종 속임수나 사기에 관련돼 있음을 알고 있다"며 "이런 계정이 사기성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소통하지 못하도록 여러 신호를 구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ICO란 사업자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가상화폐를 발행하고 이를 투자자들에게 판매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말한다. 트위터에 따르면 앞으로 가상화폐 거래와 지갑 서비스 광고는 주요 주식시장 상장회사가 제공하는 정보로 제한된다. 다만 규제를 갖춘 일본에서는 정부 인가 가상화폐 거래소에 한해 광고할 수 있다.
트위터의 광고 규제 소식이 알려진 뒤 주요 가상화폐 가격은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28일 새벽 900만원 언저리였던 비트코인 가격은 오전 9시께 30만원 이상 급감했다. 오후 1시 이후부터는 860만원 선에서 수평 그래프를 그렸다.
미국 당국이 전 세계 가상화폐와 계좌를 조사할 수 있는 권한을 의회에서 승인받은 것도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미국 상원이 '클라우드법'을 통과시키면서 미국 당국은 수색영장을 발부받아 미국 기업이 해외 서버에 저장한 데이터를 조사할 수 있게 됐다. 가상화폐와 가상화폐 계좌 역시 법 적용 대상이 됐다. 더 이상 가상화폐가 '음지'에 머무를 수 없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의 동참으로 글로벌 주요 SNS와 포털업계는 가상화폐 광고 규제에 뜻을 함께하게 됐다. 앞서 페이스북은 지난 1월 말 가상화폐 광고금지 방침을 발표했으며 당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시세가 급락했다. 페이스북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각종 가상화폐 거래, ICO 광고 등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광고 중단 이유에 대해 "현재 신뢰를 주지 못하고 운영되는 바이너리 옵션, ICO, 가상화폐 판매 광고 등이 많이 있다"며 "사용자들에게 사기나 속임수에 대한 위협을 안겨준다"고 말했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 역시 3월 중순 금융 서비스 정책을 업데이트하면서 오는 6월부터 가상화폐 관련 광고를 금지하겠다고 예고했다.
국내 대형 포털은 거래실명제를 도입한 일부 거래소 등에 한해 광고를 부분적으로 허용한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지난 1월 금융위원회가 '가상통화 투기 근절을 위한 특별대책'을 발표하고 거래실명제를 도입하자 실명 확인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가상화폐 거래소 광고를 중단했다. 이 조치로 빗썸, 업비트, 코빗, 코인원 등 4개 거래소만 광고를 게재하게 됐다. 다만 현금 기반 거래 없이 가상화폐 간 교환 등만을 취급하는 일부 사이트는 제한 조치가 금융위 지침에 포함되지 않아 광고금지 대상에서 제외됐다. 국내 포털들은 금융위에서 추가로 제한 방침을 밝히면 즉각 조치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트위터가 강경한 광고 규제를 내놨지만 이는 가상화폐를 제도권에 편입하기 위한 과정이라는 긍정적 해석도 나온다. 가상화폐 시장 전체에 대한 부정은 아니라는 뜻이다. 실제 잭 도시 트위터 CEO는 최근 인터뷰에서 "앞으로 10년 내 가상화폐는 비트코인 등 소수 가상화폐로 통일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도시 CEO는 영국 일간지 더타임스와 지난 21일 인터뷰하면서 "인터넷은 궁극적으로 단일 통화를 갖게 될 것이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비트코인이 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10년이 더 걸리겠지만 그보다 이른 시일 내에 단일화가 이뤄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가상화폐 분석기업인 비시드파트너스의 임동민 이사는 "트위터도 가상화폐를 통한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블록체인 산업을 위한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면서 "올해 미국 한국 등 주요 국가에서 제도화가 마무리되기 전까지 SNS를 통한 무분별한 정보 확산을 자제하자는 취지로 읽힌다"고 말했다.
[오찬종 기자 / 임형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