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우주 자원은 누구 소유?" 유엔우주개발조약 해석 국가별 제각각
입력 2018-03-27 07:22 

민간기업이 우주개발에 잇따라 뛰어드는 가운데 세계 각국이 독자적으로 법을 만들고 있어 향후 국제적인 분쟁의 소지가 있어 보인다.
우주개발에 관한 국제 규정으로는 지난 1967년 발효된 유엔 '우주협약'이 있다. 이 조약에 대해 현재 100개국 이상이 비준했지만, 해석이 나라마다 다르다. 우주조약은 국가에 의한 천체의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스페이스X를 비롯, 다수의 민간 벤처기업이 우주개발에 나서고 있는 미국은 "자원개발은 조약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반면 중국은 "한 나라에 의한 개발은 조약위반"이라는 입장이다. 유엔우주공간 평화이용위원회의 결정은 만장일치를 원칙으로 하고 있어 각국이 공동보조를 취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는 독자적으로 관련 법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2015년 상업우주발사법을 개정해 기업이 우주에서 채굴한 자원의 소유권을 인정하기로 했다. 벤처기업 유치를 추진하고 있는 룩셈부르크도 작년에 민간기업의 자원 소유와 이용 등을 허용하는 법을 시행했다.

장차 민간기업이 우주자원을 국제적으로 거래하기 위해서는 공통의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따라 현재의 우주조약에 규정돼 있지 않은 자세한 규정과 벌칙 등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네덜란드와 브라질 등 17개국 정부와 우주개발기구, 기업 등으로 구성된 워킹그룹은 작년에 국제 규정 초안을 마련했다. 민간기업을 포함한 자원개발자에게 권리를 부여하고 각국이 상호 승인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