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금융지주 사외이사 `文정부 코드` 맞추기
입력 2018-03-06 17:43  | 수정 2018-03-06 19:43
지배구조 문제로 논란이 일었던 하나금융지주가 큰 변화를 택했다. 이사회 구성원을 대폭 물갈이하고 규모도 축소한 것이다. 금융지주사 지배구조에 대한 정부의 요구가 엄격해진 만큼 이에 부응하기 위한 선택으로 풀이된다.
하나금융지주는 6일 이사회를 열고 사외이사 8명 가운데 5명을 새로 선임하는 절차를 밟았다. 신임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된 5명은 문재인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인 박시환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비롯해 금융감독원 규제심사위원장 출신 백태승 한국인터넷법학회 회장, 김홍진 한국남부발전 사외이사, 양동훈 동국대 회계학 교수,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 등이다.
기존 사외이사 가운데 윤성복, 박원구, 차은영 이사는 남게 됐다. 이들은 오는 23일로 예정된 주주총회 의결을 통해 사외이사로 정식 선임된다.
하나금융지주 측은 절반이 넘는 사외이사를 교체한 이유에 대해 "지주사들의 사외이사 선임 과정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많아 외부 추천기관을 통해 사외이사 추천을 받은 분들로 교체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존 지주사 사내이사 3명 가운데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을 제외한 김병호 하나금융지주 부회장과 함영주 하나은행장은 사내이사에서 제외됐다. 사내이사가 3명에서 1명으로 축소됨에 따라 사외이사까지 합한 전체 이사회 구성원 숫자도 11명에서 9명으로 줄었다. 김 부회장과 함 행장은 이사회 내 '리스크관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나 사내이사가 리스크관리위원회 업무를 맡을 경우 독립성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리스크관리위에서 빠지기로 결정했다. 하나금융지주 관계자는 "이렇게 되자 이사회 내에서 두 명이 맡는 역할이 없어졌다"며 "역할이 없는데 사내이사가 3명이나 이사회에 참석할 이유가 없다는 의견이 사외이사들 사이에서 제기돼 이번 기회에 이사회에서 빠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나금융지주는 "이사회 내에서 사외이사 비중이 커짐에 따라 사내이사들이 이사회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작아지는 효과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사회 내에 사내이사가 김 회장 한 명만 남게 될 경우 만약 김 회장 유고 시 회장 대행이 불분명해진다. 이에 대해 하나금융지주 측은 "3월 말 주주총회가 끝나는 대로 이사회를 다시 소집해 유고 시 회장을 대행할 사람을 정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금융감독당국이 김 회장의 3연임 시도에 여전히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는 만큼 변화 폭을 키워 의혹의 소지를 없애려고 한 것 같다"고 해석했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이사회 변화의 폭이 크지 않지만 가장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 곳은 KB금융지주다. 노조가 추천한 사외이사 후보의 선임 여부 때문이다. KB금융 노조가 주주제안 형태로 권순원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를 추천한 상태다. 권 교수가 이달 말 열리는 주주총회를 통과해 이사로 선임될 경우 KB금융지주 이사회 구성원은 기존 9명에서 10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다른 금융사 이사회 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KB에 노동자 추천 이사가 탄생하면 신한금융지주, 우리은행 등 다른 대형 금융사도 뒤따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KB금융지주 이사회는 지난달 23일 새 사외이사 후보로 선우석호 서울대 객원교수, 최명희 내부통제평가원 부원장, 정구환 변호사 등 3명을 추천했다. 각각 재무·지배구조, 감사·글로벌, 법률·소비자분쟁 분야에서 전문적인 경력을 갖추고 있다. 사외이사만 총 10명에 이르는 신한금융지주는 지난달 새로운 사외이사 후보 3명을 추천하는 데 그쳤다. 임기가 만료된 사외이사 중 5명은 연임한다.
한 은행업 종사자는 "금융지주사 지배구조 문제에서 가장 자유로웠던 만큼 큰 폭의 변화보다 안정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 밖에 NH농협은행도 4명의 사외이사가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김동은 기자 / 정주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