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DI "청년이 중소기업 기피하는 이유는…"
입력 2018-03-06 16:40  | 수정 2018-03-13 17:07

첫 직장의 임금 수준이 10년 정도 고용이나 임금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청년들이 미취업 상태를 감수하면서 중소기업 취업을 기피하는 것은 첫 직장이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을 개혁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6일 공개된 한요셉 한국개발연구원(KDI) 인적자원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의 보고서 '청년기 일자리 특성의 장기효과와 청년고용대책에 관한 시사점'에 따르면 첫 일자리의 임금이 일을 시작한 후 10년 이상 임금이나 고용 상태 등 노동시장에서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예를 들어 전문대졸 남성의 경우 첫 일자리에서 받았던 임금이 평균보다 10% 높을 경우, 1∼2년 차 때의 임금은 평균보다 약 4.5% 정도 높고 11년 차 이상에서는 약 3.8%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첫 직장의 임금 수준이 장래에 미치는 영향은 대졸자에게 더 컸다.

4년제 대졸 남성은 경우 첫 일자리 임금이 평균보다 10%보다 높은 경우 1∼2년 차의 임금은 평균보다 약 4.6% 높고, 9∼10년 차에도 4.4% 이상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첫 직장의 규모도 향후 임금 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고졸 남성의 경우 첫 직장의 종사자 수가 100명 이상인 경우의 임금이 100명 이하인 사업장에서 일하는 이들의 평균 임금보다 1∼2년 차 때 11% 정도 높았고 이런 차이가 없어지려면 입사 후 5∼6년이 걸렸다.
보고서는 첫 직장이 장래의 임금이나 고용 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청년들이 좋은 첫 일자리를 얻기 위해 노동시장에 정착하지 못한 채 취업 준비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하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중소기업은 일손이 부족한데 청년 미취업자가 넘치는 현실도 비슷한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고 봤다.
다만 보고서는 "중소기업 근로 청년에 대해 소득지원을 하는 경우 특정 중소기업 근속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청년들이 본인에게 적합한 직장을 찾아가는 경력 형성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