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팀에서 주장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한 가지는 감독을 포함한 코칭스태프와 선수단을 연결하는 고리이고, 다른 한 가지는 구단과 선수단의 업무에 관련된 일을 하는 것이다.
주장으로서 선수단을 이끌게 되면 조직원들은 자연스럽게 리더를 닮아 가게 된다. 따라서 주장은 스스로가 어떤 리더인지를 알아야 한다. 자신이 소통형인지 전략형인지 아니면 카리스마형인지 등에 대해 정확히 인지한 후 감독의 성향을 파악해야 한다. 그래야 코칭스태프와 선수단의 거리를 좁히며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강아지 산책이론에 적용해보면 강아지한테는 주인과 강아지를 연결해주는 목줄이 있다. 주인은 코칭스태프로, 강아지는 선수단에 비유할 수 있다. 주인은 앞으로 곧장 가도 뒤에 따라오는 강아지는 주인처럼 곧장 따라오기 보다는 좌우로 움직이며 따라온다. 그래서 주장의 역할은 움직이는 좌우의 폭을 최대로 짧게 해서 목표 방향으로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팀의 주장 즉, 리더가 되면 많은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선수 각자의 개성이 강하고 바라는 바가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조율이 필요하고 합리적인 대안이 필요한 이유다.
필자가 선수시절 2년간 LG 트윈스의 주장을 맡으며 겪었던 가장 큰 어려움은 성적에 따른 팀 분위기 수습이었다. 매일 반복되는 경기 승패에 예민해 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이기에 이기고 졌을 때 항상 좋은 팀 분위기를 만들기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팀 성적이 나쁠 때 어떻게 빨리 정상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을지 고민했었다.
그 고민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인적자원 개발 및 조직개발 전문가인 박태현 씨는 네 가지를 제안했다.
첫째는 전문성이다. 야구 선수는 게임에서 본인의 역할을 제대로 소화해 내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예를 들어 희생 상황이나 전력질주 상황에서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두 번째는 비전이다. 매일 반복되는 게임에서 일희일비하지 않으며 선수단의 심리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 시킬 수 있는 팀의 확실한 비전이 필요하다. 세 번째는 건강한 몸이다. 주장은 팀의 리더이기 때문에 매일 게임에 출전할 수 있는 실력과 건강한 몸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은 스타일이다. 선수들과 팬들은 항상 주장을 바라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주장의 스타일은 곧 팀의 얼굴이 될 수 있다.
주장의 역량은 팀이 위기일 때 가장 빛을 발한다. 팀이 어려운 시기에 코칭스텝이 할 수 있는 영역과 주장의 영역은 다르다. 특히나 선수들 내면에 들어가 마음속에 있는 이야기를 꺼내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주장일 수밖에 없다. 즉 연결고리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 그 과정에서 팀원들에게 가끔은 싫은 소리도 해야 하고 강하게 밀어붙이기도 하며 살살 달래기도 해야 한다.
인생을 살면서 프로야구팀의 주장을 맡아보는 것은 엄청난 경험이다. 그래서 필자는 상황이 되면 꼭 한번 해보라고 권한다. ‘나 혼자만이 아닌 팀 에 대해 직접 몸으로 느낄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올 시즌 새롭게 선임된 주장도 있고 연임하는 주장도 있다. 이 선수들의 멋진 시즌과 멋진 주장을 기대한다. (SBS스포츠 프로야구 해설위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장으로서 선수단을 이끌게 되면 조직원들은 자연스럽게 리더를 닮아 가게 된다. 따라서 주장은 스스로가 어떤 리더인지를 알아야 한다. 자신이 소통형인지 전략형인지 아니면 카리스마형인지 등에 대해 정확히 인지한 후 감독의 성향을 파악해야 한다. 그래야 코칭스태프와 선수단의 거리를 좁히며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강아지 산책이론에 적용해보면 강아지한테는 주인과 강아지를 연결해주는 목줄이 있다. 주인은 코칭스태프로, 강아지는 선수단에 비유할 수 있다. 주인은 앞으로 곧장 가도 뒤에 따라오는 강아지는 주인처럼 곧장 따라오기 보다는 좌우로 움직이며 따라온다. 그래서 주장의 역할은 움직이는 좌우의 폭을 최대로 짧게 해서 목표 방향으로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팀의 주장 즉, 리더가 되면 많은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선수 각자의 개성이 강하고 바라는 바가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조율이 필요하고 합리적인 대안이 필요한 이유다.
필자가 선수시절 2년간 LG 트윈스의 주장을 맡으며 겪었던 가장 큰 어려움은 성적에 따른 팀 분위기 수습이었다. 매일 반복되는 경기 승패에 예민해 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이기에 이기고 졌을 때 항상 좋은 팀 분위기를 만들기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팀 성적이 나쁠 때 어떻게 빨리 정상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을지 고민했었다.
그 고민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인적자원 개발 및 조직개발 전문가인 박태현 씨는 네 가지를 제안했다.
첫째는 전문성이다. 야구 선수는 게임에서 본인의 역할을 제대로 소화해 내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예를 들어 희생 상황이나 전력질주 상황에서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두 번째는 비전이다. 매일 반복되는 게임에서 일희일비하지 않으며 선수단의 심리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 시킬 수 있는 팀의 확실한 비전이 필요하다. 세 번째는 건강한 몸이다. 주장은 팀의 리더이기 때문에 매일 게임에 출전할 수 있는 실력과 건강한 몸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은 스타일이다. 선수들과 팬들은 항상 주장을 바라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주장의 스타일은 곧 팀의 얼굴이 될 수 있다.
주장의 역량은 팀이 위기일 때 가장 빛을 발한다. 팀이 어려운 시기에 코칭스텝이 할 수 있는 영역과 주장의 영역은 다르다. 특히나 선수들 내면에 들어가 마음속에 있는 이야기를 꺼내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주장일 수밖에 없다. 즉 연결고리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 그 과정에서 팀원들에게 가끔은 싫은 소리도 해야 하고 강하게 밀어붙이기도 하며 살살 달래기도 해야 한다.
인생을 살면서 프로야구팀의 주장을 맡아보는 것은 엄청난 경험이다. 그래서 필자는 상황이 되면 꼭 한번 해보라고 권한다. ‘나 혼자만이 아닌 팀 에 대해 직접 몸으로 느낄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올 시즌 새롭게 선임된 주장도 있고 연임하는 주장도 있다. 이 선수들의 멋진 시즌과 멋진 주장을 기대한다. (SBS스포츠 프로야구 해설위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