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지진 무방비 경기도 문화재…"보호대책 서둘러야"
입력 2017-11-18 20:47  | 수정 2017-11-25 21:05

지난해 경주와 올해 포항에서 규모 5.0 이상 지진이 발생하면서 문화재의 지진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에도 서울과 원산 등을 잇는 추가령 단층과 경기 포천에서 남양주를 연결하는 왕숙천 단층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면서 경기도내 문화재를 지키기 위한 지진대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경기도가 문화재청과 별도로 자체 문화재 내진진단사업을 올해 시작했습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에는 처음입니다.

지난해 9월 경주지진 사태에서 교훈을 얻은 경기도는 도비 2억원을 투입해 도내 도지정 문화재 364개에 대해 지진기초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의 하나로 364개 문화재 가운데 문제가 있는 37개를 선정해 지반침하 여부 등을 정밀조사중입니다.

현재까지의 조사결과 의정부 망월사천봉선사탑비와 광주의 침쾌정 등 8개 문화재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나(내진성능 주의)' 등급을 받았습니다.

구리의 아차산 삼층석탑, 양주 회암사지 부도탑, 김포 통진향교 대성전 등 10개 문화재는 지진안정성 확보를 위해 추가 점검과 조치가 필요한 '다(내진성능 취약)' 등급으로 분류됐습니다.

또 경기문화재연구원이 현장조사와 경기도 문화재 돌봄사업단의 모니터링 보고서를 분석해 11개 시·군의 19개 문화재의 지반이 매우 취약한 것을 확인됐습니다.

양평 향근향교 대성전과 신륵사 원구형 석조부도 등은 시설물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졌고, 안산 청문당 사랑채는 후면 기단부 균열·파손으로 지반약화가 우려됩니다.

경기도는 올해 말 문화재 내진진단 사업이 완료되면 진단점검 결과와 점검 매뉴얼을 만들어 시·군에 배포하고, 내진 취약 문화재가 있는 시군과는 지진보강을 위해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경기도 관계자는 "현행법상 문화재에 내진보강을 할 수 없으므로 문화재 주변 부실한 지반을 찾아 집중적으로 보수할 계획"이라면서 "앞으로는 지진에 대비한 문화재 보호대책을 서둘러 마련해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