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일 진행한 싱가포르 채널뉴스아시아(CNA)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이 갈등관계가 아니라 서로 협력하고 함께 공동 번영해 나가는 관계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국이 할 수 있다"고 밝힌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문 대통령이 당시 인터뷰에서 "저는 미국과의 외교를 중시하면서도 중국과의 관계도 더더욱 돈독하게 만드는 균형있는 외교를 하고자 한다" 는 발언만 먼저 공개됐는데, 9일 이같은 '균형외교'에 대한 구체적인 부연설명이 인터뷰 전문으로 나왔다.
문 대통령은 최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THAAD)갈등을 일단 봉합하고 모든 분야 교류협력을 회복하는 '한중관계 개선관련 협의결과'를 설명하면서 "중국과의 합의는 사드 문제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견지해가면서도 한중 관계를 정상화하기로 합의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이제 시작이라고 본다"고 기대를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와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중·일) 회의에서 이어질 한·중 간의 정상회담 등을 통해서 한중 관계를 과거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더욱 더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적 방법으로 북핵문제 해결'에 대해 한국과 중국이 같은 입장이라고 했다. 이같은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중국과의 전략적인 협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의 평화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남북은 물론이고 한반도를 둘러싼 국가들 간에 양자 또는 다자간 다양한 대화가 필요하다"며 북미대화를 포함한 다자간 협상을 언급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의 만날 의향에 대해 "북한이 먼저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하려는 의지를 가져야만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그런 여건이 조성된다면 저는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북한 측과 대화를 시작할 용의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북핵 미사일 도발이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우리가 한·미 연합훈련 중단을 말할 수는 없다"고 단호하게 못박았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온다면 △그때는 우선 1단계로 핵 동결을 위해서 △그 다음 단계로는 북한 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해서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어떤 상응한 조치를 취해 주실 것인지, 그 대화 과정에서 협의할 수 있다는 로드맵을 제시하면서 평화의 문을 열어놨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완전파괴'등 군사적 옵션 가능성 발언이 실제로 군사적 조치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때로는 강력한 발언을 하지만 그 역시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목적이고, 실제로 어떤 군사적 행동을 실행할 의도로 하는 것이 아니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면에서는 미국과 우리 한국이 적절한 역할 분담을 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미 양국은 북한 핵·미사일 도발을 막고 장기적으로 북한 핵을 완전 폐기하는데 같은 입장이다.
문 대통령은 "한국과 미국은 긴밀하게 공조해서 한반도 비핵화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함께 이루어낼 것"이라고 분명히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관련해 "언젠가 우리가 스스로 역량을 갖춘다면 우리가 전시작전권을 행사하는 것은 자주 국가로서 당연한 일"이라며 "그것은 미국이 동의하고 바라는 바"라고 전했다. 이어 "우리가 전시작전통제권을 행사하게 된다하더라도 한미 연합 방위능력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며 "한미 연합방위능력을 우리가 행사하는 방법에 대해서 새로운 포맷이 필요할 수는 있겠지만 양국 간의 연합방위라는 근본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계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