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계부채대책 후 집값 양극화 심화
입력 2017-11-02 16:20  | 수정 2017-11-02 16:28

지난달 정부의 가계부채종합대책 발표 직후 집값 양극화가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이 2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의 직전 일주일 변동률은 보합(0)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올해 2월말 이후 8개월 가량 이어지던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춤해졌다. 상승폭 축소는 지난달 24일 발표된 가계부채종합대책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가계부채종합대책을 발표하며 내년부터 신DTI(총부채상환비율)를 도입하고 하반기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한 상태로 이자만 내고 있던 사람이 추가로 주택담보대출을 신청하면 DTI 산정시 기존 대출 이자만 추가됐지만 앞으로는 원리금이 추가된다. 과도한 부채를 이용해 갭투자 등 투기에 나서는 움직임을 봉쇄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주택수요가 많은 지역의 아파트값은 오히려 더 올랐다. 서울은 0.07% 오르며 전주(0.06%)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8·2 부동산대책 후 한동안 하락세를 이어가다 9월 11일 상승전환에 성공했고 서서히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서초·강남·송파·강동 등 강남4구의 상승률도 0.11%로 전주(0.08%) 대비 확대됐다. 동작구가 0.21% 급등하며 서울시내 상승률 1위를 기록했고 최근 재건축 이슈가 많은 송파구도 0.16%로 상승을 주도했다. 중구(0.12%), 마포구(0.06%), 광진구(0.06%), 성동구(0.05%), 동대문구(0.05%), 성북구(0.05%) 등 강북 주요 지역도 고루 올랐다.
반면 수도권 아파트값은 0.04% 오르며 전주(0.06%) 대비 오름폭이 축소됐고 지방은 0.03% 하락하며 전주(-0.02%) 대비 낙폭이 커졌다. 경남(-0.18%), 경북(-0.15%), 울산(-0.1%) 충남(-0.09%) 등은 최근 하락하던 지역 대부분 낙폭이 커졌고 제주도는 전주 0.01% 상승에서 0.06% 하락으로 돌아섰다.

이 같은 양극화는 가계부채대책이 발표되던 시점부터 예견됐다. 대책 발표 당시 김세원 내외주건 이사는 "주거 선호지역 및 공급부족 지역과 공급과잉 및 비선호지역의 양극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대출규제로 양극화가 심해지는 측면도 있지만 발표 직후 일주일간의 수치만 놓고 중장기 추세를 단정짓긴 어렵다"며 "연이은 규제로 지금 시장에서는 관망하자는 분위기가 강해 한동안 집값 변동성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전세시세도 매매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지난달 30일 기준 전국 주간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보합으로 전주(0.01%)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도 0.04%에서 0.03%로 줄었지만 서울은 0.05% 상승을 지속했다. 지방은 0.02% 하락을 유지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연이은 정책 발표로 매수대기자들이 전세를 유지하는 쪽으로 돌아섰고 정비사업에 따른 이주 수요까지 더해지며 일부 지역에서 전세수요는 늘었지만 가을이사철이 마무리되고 새아파트 입주량이 늘어난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전세가격은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경매 낙찰가율에서도 양극화가 관측된다. 경매업계 1위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100.2%를 기록했다. 낙찰가율 집계가 시작된 이후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이 월간 기준으로 100%를 넘어선 것은 2002년 2월과 3월, 2006년 11월과 12월, 올해 5월에 이어 역대 6번째다. 반면,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은 9월 92.5%에서 10월 91.6%로 0.9%포인트 하락했다. 이창동 지지옥션 경매선임연구위원은 "서울 아파트의 경우 투자심리가 8.2 대책 이전 수준을 거의 다 회복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순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