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김솔지 기자] 대체불가 배우 조진웅이 이번엔 백범 김구 선생으로 분했다. 그는 영화 ‘대장 김창수를 통해 위인의 가장 빛나던 시절이 아닌, 위대한 리더로 거듭나기 위해 알을 깨고 나가는 출발점에서의 모습을 그려냈다.
‘대장 김창수는 1896년 명성황후 시해범을 죽이고 사형선고를 받은 청년 김창수가 인천 감옥소의 조선인들 사이에서 대장으로 거듭나기까지의 이야기를 그린 감동실화다.
김창수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백범 김구의 이야기다. 김창수는 김구의 개명 전 이름이다. 영화 속 내용은 김구가 청년 시절 벌였던 치하포 사건과 수형소 탈출 사건을 바탕으로 그려냈다.
조진웅은 ‘대장 김창수를 출연하기 전 몇 차례 고사했던 사실을 밝혔다. 고사한 이유는 실존인물을 다루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가장 컸다고 말했다. 그는 김구선생님은 잘 알지만, 이 시기에 있었던 것은 저도 몰랐다. 심지어 처음 제목은 ‘사형수였다. 배우로서 어떻게 감당하면서 선뜻 하겠다고 하겠나. 나는 못하겠더라”라면서 나중에는 할 수 있어서 하는 게 아니라 해야 해서 하는 거다. 내 차례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시나리오를 읽었을 때 그냥 누구나 다 영웅이 될 수 있고, 삶의 가치는 소중하나 누가 어떻게 영웅이 될 수 있는지는 자기도 모를 거다. 무심결에 손을 내밀어서 잡았는데, 그 사람의 은인이 될 수 있다는 걸 느꼈다”고 털어놨다.
이러한 부담감을 안고 시작한 조진웅은 ‘청년 시절 김구는 정말 저런 모습일 것 같다라는 생각을 불러올 정도로 캐릭터에 완전히 녹아들었다. 그 뒤엔 엄청난 노력과 철저한 준비가 따랐을 터, 조진웅은 평범하고 천한 청년이지만 누구보다 당당했던 김창수를 표현하기 위해 스스로도 강단을 갖기 위한 작업을 거쳤다고 말했다.
오히려 캐릭터 분석이라고 할 게 없었다. 책에 나와 있는 지점들을 이해하기 위해 부러트리는 작업이 중요했다. 오히려 내가 인식할 부분은 일지에 나와 있는 말을 대사로 인용했으니까 이 말까지 도달하기 위해 배우 조진웅이 어떻게 해서 이렇게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해 감내하는 작업을 거쳤다. 그냥 대본이었으면 ‘여기서 이렇게 말 안할 것 같은데 라고 했을 텐데 이건 실제로 한 말이지 않나. 에너지를 조율하는 상태가 상당히 중요하지 않을까 했다. 여기까지 가서 이렇게 할 수 있는 게 뭐였을까를 찾아갔다. 해보려고 했는데 안 되는 경우도 많았다. 상당히 두렵기도 하고, 그런 상황이려니 상상하고 연기하게 됐다. 겁이 났다. 당시 김창수는 20대인데, 나보다 곱절이나 어린데도 당당한데, 나는 두려운 게 창피했다. 그래도 말은 해야 하지 않나. 뱉을 때 많이 부끄러웠다. 그런 강단을 갖기 위한 작업을 거쳤다.”
영화 속 모두의 눈시울을 붉혔던 장면은 단연 사형장 장면이다. 조진웅은 실제로 이 장면을 촬영할 때 감정이 북 받쳐 한동안 눈물을 멈추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너무 눈물이 나는데, 후배들도 나와 있고 창피한 마음이 조금 있었다. 그러다가도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런 말을 할 수 있었나 싶다. ‘잊지 마라 라고 해야 하는데 엄두가 안났다. ‘왜놈들을 내 눈 앞에서 치우라고 해야 하는데 말이 안 나오더라. 도저히 감내가 안됐다. 어떻게 이런 말씀을 하셨나. 저도 그 시대를 들어가진 못했는데 내가 진짜 할 수 있어서 하는 게 아니라, 해야 해서 하는 게 뭔지 느꼈다. 연기를 하면서 ‘나도 그리 살겠다는 느낌이 들었다.”
조진웅의 말에서 그 뿐만 아니라 ‘대장 김창수의 촬영 현장이 가슴 벅차고 뜨거웠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극중 사형장으로 끌려가는 김창수와 노역장으로 끌려가는 죄수들의 마지막 인사 신은 촬영 당일 예정에 없던 원테이크로 진행됐다. 조진웅은 김창수의 강단을 가지고 떳떳하게 사형장에 들어가려는 의도를 세웠지만, 실제로는 하염없이 흐르는 눈물에 어떠한 말 조차 할 수 없었다고 털어놔 눈길을 끌었다.
이번 작품이 고마웠던 게 시나리오에 쓰여진 순서대로 촬영했다. 그런 작업은 배우에게 있어서는 최고의 호사다. 웬만하면 그걸 지켰다. 후반부에 사형장에 끌려갈 때는 원테이크로 촬영했다. 정근선배 눈을 보는데 미치겠더라. 물론 같이 생활했으니까 그렇겠지만, 우린 다 배우들이고 촬영 중인 현장인데, 정말 이별이 아닌데도 그때 연기를 하는데 희한한 감정이 들었다. 컷 하고 나서 선배가 자기도 창피한지 눈물을 몰래 닦더라. 서로 민망했다. 선배님뿐만 아니라 동료배우들이 마중 나오는데, 끝나고 죽는 게 아니라 종례하러 가는 건데도 묘한 느낌이 들었다. 현장에서 그런 기운을 받으니까 사람이 엄청 슬퍼지더라. 감독님이랑 촬영 들어가기 전까지는 ‘김창수는 사형장에 들어갈 때 울지 않는다고 말했다. 분명 의도는 내가 울지 않는 거였는데, 계속 눈물이 나서 결국 나중에는 후시 녹음을 했다.”
김솔지 기자 solji@mkculture.com
‘대장 김창수는 1896년 명성황후 시해범을 죽이고 사형선고를 받은 청년 김창수가 인천 감옥소의 조선인들 사이에서 대장으로 거듭나기까지의 이야기를 그린 감동실화다.
김창수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백범 김구의 이야기다. 김창수는 김구의 개명 전 이름이다. 영화 속 내용은 김구가 청년 시절 벌였던 치하포 사건과 수형소 탈출 사건을 바탕으로 그려냈다.
조진웅은 ‘대장 김창수를 출연하기 전 몇 차례 고사했던 사실을 밝혔다. 고사한 이유는 실존인물을 다루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가장 컸다고 말했다. 그는 김구선생님은 잘 알지만, 이 시기에 있었던 것은 저도 몰랐다. 심지어 처음 제목은 ‘사형수였다. 배우로서 어떻게 감당하면서 선뜻 하겠다고 하겠나. 나는 못하겠더라”라면서 나중에는 할 수 있어서 하는 게 아니라 해야 해서 하는 거다. 내 차례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시나리오를 읽었을 때 그냥 누구나 다 영웅이 될 수 있고, 삶의 가치는 소중하나 누가 어떻게 영웅이 될 수 있는지는 자기도 모를 거다. 무심결에 손을 내밀어서 잡았는데, 그 사람의 은인이 될 수 있다는 걸 느꼈다”고 털어놨다.
이러한 부담감을 안고 시작한 조진웅은 ‘청년 시절 김구는 정말 저런 모습일 것 같다라는 생각을 불러올 정도로 캐릭터에 완전히 녹아들었다. 그 뒤엔 엄청난 노력과 철저한 준비가 따랐을 터, 조진웅은 평범하고 천한 청년이지만 누구보다 당당했던 김창수를 표현하기 위해 스스로도 강단을 갖기 위한 작업을 거쳤다고 말했다.
오히려 캐릭터 분석이라고 할 게 없었다. 책에 나와 있는 지점들을 이해하기 위해 부러트리는 작업이 중요했다. 오히려 내가 인식할 부분은 일지에 나와 있는 말을 대사로 인용했으니까 이 말까지 도달하기 위해 배우 조진웅이 어떻게 해서 이렇게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해 감내하는 작업을 거쳤다. 그냥 대본이었으면 ‘여기서 이렇게 말 안할 것 같은데 라고 했을 텐데 이건 실제로 한 말이지 않나. 에너지를 조율하는 상태가 상당히 중요하지 않을까 했다. 여기까지 가서 이렇게 할 수 있는 게 뭐였을까를 찾아갔다. 해보려고 했는데 안 되는 경우도 많았다. 상당히 두렵기도 하고, 그런 상황이려니 상상하고 연기하게 됐다. 겁이 났다. 당시 김창수는 20대인데, 나보다 곱절이나 어린데도 당당한데, 나는 두려운 게 창피했다. 그래도 말은 해야 하지 않나. 뱉을 때 많이 부끄러웠다. 그런 강단을 갖기 위한 작업을 거쳤다.”
영화 속 모두의 눈시울을 붉혔던 장면은 단연 사형장 장면이다. 조진웅은 실제로 이 장면을 촬영할 때 감정이 북 받쳐 한동안 눈물을 멈추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너무 눈물이 나는데, 후배들도 나와 있고 창피한 마음이 조금 있었다. 그러다가도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런 말을 할 수 있었나 싶다. ‘잊지 마라 라고 해야 하는데 엄두가 안났다. ‘왜놈들을 내 눈 앞에서 치우라고 해야 하는데 말이 안 나오더라. 도저히 감내가 안됐다. 어떻게 이런 말씀을 하셨나. 저도 그 시대를 들어가진 못했는데 내가 진짜 할 수 있어서 하는 게 아니라, 해야 해서 하는 게 뭔지 느꼈다. 연기를 하면서 ‘나도 그리 살겠다는 느낌이 들었다.”
조진웅의 말에서 그 뿐만 아니라 ‘대장 김창수의 촬영 현장이 가슴 벅차고 뜨거웠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극중 사형장으로 끌려가는 김창수와 노역장으로 끌려가는 죄수들의 마지막 인사 신은 촬영 당일 예정에 없던 원테이크로 진행됐다. 조진웅은 김창수의 강단을 가지고 떳떳하게 사형장에 들어가려는 의도를 세웠지만, 실제로는 하염없이 흐르는 눈물에 어떠한 말 조차 할 수 없었다고 털어놔 눈길을 끌었다.
이번 작품이 고마웠던 게 시나리오에 쓰여진 순서대로 촬영했다. 그런 작업은 배우에게 있어서는 최고의 호사다. 웬만하면 그걸 지켰다. 후반부에 사형장에 끌려갈 때는 원테이크로 촬영했다. 정근선배 눈을 보는데 미치겠더라. 물론 같이 생활했으니까 그렇겠지만, 우린 다 배우들이고 촬영 중인 현장인데, 정말 이별이 아닌데도 그때 연기를 하는데 희한한 감정이 들었다. 컷 하고 나서 선배가 자기도 창피한지 눈물을 몰래 닦더라. 서로 민망했다. 선배님뿐만 아니라 동료배우들이 마중 나오는데, 끝나고 죽는 게 아니라 종례하러 가는 건데도 묘한 느낌이 들었다. 현장에서 그런 기운을 받으니까 사람이 엄청 슬퍼지더라. 감독님이랑 촬영 들어가기 전까지는 ‘김창수는 사형장에 들어갈 때 울지 않는다고 말했다. 분명 의도는 내가 울지 않는 거였는데, 계속 눈물이 나서 결국 나중에는 후시 녹음을 했다.”
김솔지 기자 solji@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