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공동안정성센터 만든 조용준 이사장
입력 2017-09-11 11:37  | 수정 2017-09-12 11:09

"R&D(연구개발)는 우리나라 제약사들이 세계에서도 활약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날개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제약사들이 R&D 투자는 쉽게 결정하기 힘든 사안입니다."
조용준 한국제약협동조합 이사장(동구바이오제약 대표)은 중소 제약업계의 발전 로드맵에 대해 묻자 "콜라보레이션(협업)을 통한 상생”이라는 답을 내놓았다. 지난 2013년 이사장에 오른 그는 제약협동조합을 무리없이 이끌었고 외부활동도 활발히 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올해 초 연임에 성공해 '조용준 이사장 2기'를 시작했다.
그가 추진한 협업의 첫 발걸음은 바로 향남제약공단 내의 '공동 안정성 시험센터'다. 지난해 '의약품 전 품목 시판 후 안정성검사 의무화'에 따라 안정성시험은 필수가 됐다. 이에 따른 장비·인력·시설의 보완을 위해 각 중소제약사별로 수억원 규모의 비용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됐는데, 제약협동조합은 공동사업을 통해 회원사들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내놨다. 지난해 건립에 들어간 공동 안정성 시험센터는 조합 내 6개사가 공동으로 참여해 총 면적 264㎡의 2층 규모이다. 조합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검사기관 지정승인신청을 제출했으며 승인은 이르면 이달내로 날 것으로 예상된다.
조 이사장은 "다품목 소량생산인 제약사, 특히 중소제약사에게 전 품목 안정성시험은 큰 부담"이라며 "중소제약사들이 안정성 시험 센터를 따로 만들면 4~5억원 가량의 비용이 들어가는데, 공동으로 건립해 비용을 절반 가량 줄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최초 참여한 업체 이외에 제약사들도 저렴하게 이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만약 추가적으로 검사기기가 필요하면 의료기기협동조합 등과 협업으로 저렴하게 조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발 더 내딛는 협업의 단계는 바로 '공동 R&D 센터'다. 조 이사장은 "중소제약사의 생존은 결국 R&D지만, R&D 투자를 높이면 영업이익은 내려갈 수 밖에 없다. 경영에 무리가 따르면 결국 국내 제약시장은 다국적 제약사의 판이 될 수 밖에 없다"며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라는 속담에 착안해 공동 R&D 진행을 추진하는 데 큰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제약업체들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개량신약 개발도 중소제약사에게는 적지 않게 부담스러운 비용이 드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한 회사가 개량신약 한 품목을 개발하기 위해선 5년이라는 시간과 약 70억원의 투자비용이 든다. 조 이사장은 "만약 5개 제약사가 공동 R&D를 통해 개발에 뛰어든다면 회사별로 투자비용을 1년에 2억~3억원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며 "제약사에게 여러 개량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꾸릴 여력을 줄 수 있고, 예산 책정도 보다 폭넓게 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조 이사장은 공동 R&D센터가 제약산업 발전의 마중물이 되기 위해선 수도권에 위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 제약회사가 대덕에 있을 때는 연구원을 한 명을 뽑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었는데, 송파로 터전을 옮기니 2명 채용에 100여명이 몰렸다"며 "유능한 인재들이 제약업계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수 있게 수도권 내 접근성 높은 부지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고급 인력의 고용을 늘리는 데 필요한 건의도 내놨다. 그는 "일자리 창출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청년고용특별세액공제 제한연령을 29세에서 35세로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조 이사장은 우리나라 제약산업 성장 동력을 해외에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제약시장 규모가 약 20조인데 반해 세계 시장은 1200조에 달한다"며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인구수도 7억명을 헤아리는 아세안 시장이 매력적이다. 제약산업에게 아세안이 세계시장의 교두보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아울러 제약산업은 공공성이 큰 산업으로 정부와 기업 간 소통이 중요하다"며 "4차산업혁명 위원회·보건복지부·식약처·기재부 등 정부기관에 제약산업의 애로사항을 건의하는 소통의 자리도 자주 만들어 보겠다"고 덧붙였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