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두 달을 맞은 액티브채권 상장지수펀드(ETF)가 투자자로부터 호응을 받지 못하는 분위기다. 지난 두 달 동안 유입된 자금이 채 1000억원도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채권형 ETF보다 나을 줄 알았던 수익률도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아 투자자들 사이에선 '기대 이하'라는 평가가 나왔다.
관련 ETF를 상장한 회사들은 "금리 상승기 채권의 인기가 시들해진 상황임을 감안해야 한다"며 보다 긴 시각에서 접근해 줄 것을 요청했다.
2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국내에 상장된 6개 액티브채권 ETF 설정액은 1조5177억원(8월 21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 6월 말 액티브채권 ETF가 상장할 당시 설정액이 1조4200억원임을 감안하면 두 달 동안 유입된 자금이 1000억원도 안 되는 셈이다.
액티브채권 ETF는 지수 성과를 그대로 추종하는 기존 ETF와 달리 펀드매니저가 일정 부분 재량을 갖고 운용하는 ETF다. 펀드매니저 운용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에 투자자들은 지수 수익률에 플러스 알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했지만 아직 그렇지 않은 모양새다. 액티브채권 ETF 대부분이 일반 채권형 ETF와 다를 바 없거나 오히려 못한 성과를 냈기 때문이다.
특히 단기채 ETF의 경우 일반 단기채 ETF들은 지난 두 달 동안 평균 0.21%의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액티브 단기채 ETF는 평균 0.18% 수익률을 내 성과가 더 좋지 않았다.
액티브채권 ETF와 기존 채권형 ETF 간 뚜렷한 차별점을 찾기 힘들다는 지적이 많다. 국내 국고채에 주로 투자하는 운용 방식이나 상품 특징, 목표 수익률 등이 큰 차이가 없어 '액티브'라는 이름이 무색하다는 것이다.
최창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채권형 액티브 ETF가 기존 채권형 ETF와 비교했을 때 월등한 장점을 찾아보기 힘들다"며 "상장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검증은 어려우나 압도적인 수익률이 나오지 않는 이상 시장의 관심을 끌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최근 금리 상승 기조에 채권 투자가 전반적으로 인기가 없는 상황임을 감안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제 자리를 잡는 단계인 만큼 좀 더 기다려봐야 한다는 얘기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서서히 기관투자가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성과 역시 단기적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항변했다.
[김효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ETF를 상장한 회사들은 "금리 상승기 채권의 인기가 시들해진 상황임을 감안해야 한다"며 보다 긴 시각에서 접근해 줄 것을 요청했다.
2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국내에 상장된 6개 액티브채권 ETF 설정액은 1조5177억원(8월 21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 6월 말 액티브채권 ETF가 상장할 당시 설정액이 1조4200억원임을 감안하면 두 달 동안 유입된 자금이 1000억원도 안 되는 셈이다.
액티브채권 ETF는 지수 성과를 그대로 추종하는 기존 ETF와 달리 펀드매니저가 일정 부분 재량을 갖고 운용하는 ETF다. 펀드매니저 운용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에 투자자들은 지수 수익률에 플러스 알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했지만 아직 그렇지 않은 모양새다. 액티브채권 ETF 대부분이 일반 채권형 ETF와 다를 바 없거나 오히려 못한 성과를 냈기 때문이다.
특히 단기채 ETF의 경우 일반 단기채 ETF들은 지난 두 달 동안 평균 0.21%의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액티브 단기채 ETF는 평균 0.18% 수익률을 내 성과가 더 좋지 않았다.
액티브채권 ETF와 기존 채권형 ETF 간 뚜렷한 차별점을 찾기 힘들다는 지적이 많다. 국내 국고채에 주로 투자하는 운용 방식이나 상품 특징, 목표 수익률 등이 큰 차이가 없어 '액티브'라는 이름이 무색하다는 것이다.
최창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채권형 액티브 ETF가 기존 채권형 ETF와 비교했을 때 월등한 장점을 찾아보기 힘들다"며 "상장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검증은 어려우나 압도적인 수익률이 나오지 않는 이상 시장의 관심을 끌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최근 금리 상승 기조에 채권 투자가 전반적으로 인기가 없는 상황임을 감안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제 자리를 잡는 단계인 만큼 좀 더 기다려봐야 한다는 얘기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서서히 기관투자가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성과 역시 단기적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항변했다.
[김효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