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주목받는 단말기 완전자급제, 유통업계 "절대 반대"
입력 2017-06-26 13:47 
[사진 제공 : 매일경제DB]

가계통신비 인하를 위해 궁극적으로 '단말기 완전자급제'로 가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상황에서 유통인들은 '생존권'을 이유로 결사 반대 의지를 다졌다. 이동통신 단말 유통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에 대한 대책 없이 소비자만을 위한 정책을 펴서는 안 된다는 주장으로 풀이된다.
박선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KMDA) 시장활성화위원장은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단말기 완전)자급제는 절대 반대"라면서 "대통령 선거 한달 전 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의견 조회가 왔고 자급제가 시장 흐름에 맞지 않다고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현재 이동통신 시장에서는 이통사가 단말을 제조사로부터 받아 대리점, 판매점 등 유통점을 통해 판매한다. 단말기 완전자급제는 이통사가 단말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다. 소비자가 제조사로부터 단말을 사고 이통사에 별도로 가입하는 방식이다.
단말기 완전자급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의 배경에는 복잡한 유통 구조가 단말의 가격을 올린다는 게 한몫을 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도 정문수 KMDA 정책추진단장이 "한 대당 3만원씩 남기고 있다고 전해들었다"며 "매달 70만대 이상으로 예상하며 3만원씩, 12개월로 약 2500억원 시장을 (이통사가) 장악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통사가 단말을 판매하지 않는다면 마케팅비 부담이 줄어 가계통신비 여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통 3사는 소비자에게 지급하는 지원금과 유통점에 주는 판매장려금을 포함한 마케팅비로 연간 7조~8조원을 쓴다.
단말기 완전자급제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지난 22일 발표한 통신비 절감대책에 포함된 가계통신비 인하 방안은 아니다. 다만 같은날 최민희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자문위원은 "단말기 완전자급제는 우리가 가야 할 지향(점)이다"고 말했다. 여러 국회의원들도 관련 법안은 수차례 발의한 바 있고 최근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이 법안 발의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단말기 완전자급제가 시행되면 이통사로부터 단말을 받아 판매하는 중소 유통업체들이 문을 닫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문제다. KMDA에 따르면 현재 유통 종사자는 6만명, 점포수는 2만여개다.
인태연 을살리기운동본부 공동대표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귀를 기울여가면서 정책을 펴지 않고 '소비자들이 좋아하겠다'는 생각으로 정책을 펴니 시장이 파괴된다"면서 "4인 미만의 유통 대리점(소상공인)과 그 가족들의 피해까지 고려하면 대한민국의 소비시장이 붕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