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문재인 시대…코스피 `허니문 랠리` 펼치나
입력 2017-05-09 20:46  | 수정 2017-05-10 01:07
역대 정부 출범 초기 코스피가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다는 점에서 대선이 끝난 이번주 이후에도 '허니문 랠리' 장세가 펼쳐질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다만 최근 코스피지수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갈아 치우면서 차익실현 욕구가 커지고 있고 다음달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이 큰 만큼 코스피에 대한 지나친 낙관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직선제로 치러진 1987년 대통령선거 이후 코스피는 대체로 상승 곡선을 그렸다. 역대 대통령 취임 이후 1년간 코스피 상승률은 13대 대선(노태우) 당시 40.1%를 기록했고 14대(김영삼) 40.3%, 15대(김대중) 11.3% 등 두 자릿수 이상 올랐다. 16대(노무현) 때는 출범 1년 만에 무려 52.6%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17대(이명박)와 18대(박근혜) 출범 이후 1년간 코스피 상승률은 각각 -37.8%, -0.02%를 기록하며 저조한 성적을 거뒀으나 당시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3년 미국 벤 버냉키 쇼크 여파로 코스피가 힘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13~18대까지 신정부 출범 이후 1년간 평균 코스피 상승률은 17.7%에 이른다.
정권 초기 코스피가 상승 탄력을 받은 이유는 심리적 요인인 '신정부 기대감'과 함께 '경기 부양'이라는 정책적 효과가 동시에 작용했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의 재정지출 증감률 추이를 살펴보면 정권 초기 때마다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통해 내수 활성화에 힘써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CEIC에 따르면 직전 정부 말기 감소 추세를 보이던 재정지출은 새 대통령 취임 직후부터 증가세로 돌아서는 경향이 뚜렷하게 보였다. 예컨대 김영삼 전 대통령 취임 1년 후 재정지출 규모는 1993년 2월 김 전 대통령 취임 당시 대비 56%로 급증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 이후 모든 신정부도 마찬가지다. 1999년 2월 임기를 시작한 김대중정부의 출범 1년 후 재정지출 규모는 취임 당시보다 34% 증가했으며, 노무현(42%)·이명박(87%)·박근혜(6%) 정부에서도 이 같은 추세는 그대로 유지됐다.
대통령 취임 첫해에는 추가경정예산을 많이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박근혜정부 첫해에는 17조3000억원 규모의 추경이 편성된 바 있다. 그동안 정권마다 초기에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친 것은 경기 부양을 통한 민심 안정을 꾀하는 동시에 대내외 악재에 대응하기 위해서였다.
특히 15(김대중)~17대(이명박) 출범 초기에는 경제 사정이 좋지 못했다. 1998년 외환위기, 2003년 카드대란 여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악재가 경제를 짓누르고 있어 각 정부는 출범 초기 경기 부양에 힘쓸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다.
장미 대선이 끝난 현재 상황은 과거 역대 대선 이후 당시와 사뭇 다르다. 세계 경기가 회복 국면에 놓여 있고 국내 상장법인 순이익이 사상 최초로 100조원을 돌파하면서 경제기초여건이 탄탄해졌다. 코스피도 연일 신고가 행진을 펼치며 2300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일각에서는 양호한 국내외 경기 흐름 덕분에 신정부가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치지 않을 것이란 의견을 제시한다. 하지만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높은 청년실업률 등 위험 요소 탓에 신정부가 적어도 정권 초기에는 경기 부양책을 꺼내 들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과거 대선 이후 정책 흐름을 살펴보면 신정부 출범 초기에 정부가 경기 부양에 적극적으로 힘써왔다는 점을 알 수 있다"며 "새로운 정권이 들어서면서 그동안 국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던 정치적 리스크가 사라진 이상 대세 상승장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됐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정보기술(IT)과 내수주에는 관심을 가지면서도 4차 산업혁명 등 정책 관련주는 정부 방향성을 살펴본 후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코스피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차익실현 수요가 커진 상황이고, 6월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 국내 증시의 열기가 한풀 꺾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윤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6월 미국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향후 유동성 축소 향방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대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