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행복도시는 미래도시…차기정부도 특화사업 유지해야"
입력 2017-05-07 17:37 
이충재 행복도시청장 인터뷰
"대한민국에서 지금껏 개발된 신도시는 모두 중심부 집중 개발 후 확산하는 방식이다 보니 환경오염, 주거 부족, 교통 혼잡 등 태생적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행복도시는 기존 신도시 한계를 모두 극복한 미래도시입니다."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일대에서 추진 중인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조성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이충재 행복도시건설청장(62·사진)은 최근 매일경제신문과 인터뷰하면서 "차기 정부도 현재 추진하고 있는 행복도시 내 다양한 특화사업들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7년 착공한 행복도시는 정권 교체 등 외부 변수로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난관을 하나씩 극복한 끝에 지금은 40개 중앙행정기관과 15개 국책연구기관이 자리 잡은 행정 중심도시가 됐다. 아파트 입주가 본격화한 지 5년 남짓 됐지만 인구가 벌써 15만5000명을 넘어섰다.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해 출산율도 1.9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 청장은 "이제 행복도시는 독일 일본 중국 이스라엘 등에서도 도시건설 노하우를 벤치마킹하러 오는 도시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 청장은 행복도시가 이처럼 살기 좋은 도시로 자리 잡은 비결로 철저한 계획에 기반한, 특화 개발 방식을 꼽았다. 2013년 취임한 이 청장은 행복도시만의 공동주택 주거문화를 만들기 위해 필지 단위로 쪼개 건설사업자에게 땅을 매각하는 기존 도시계획 방식에서 탈피하도록 주문했다. 대신 행복청이 여러 필지를 묶어 생활권 단위로 특화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설계를 공모했다. 사업비를 낮추기보다 마스터플랜에 맞춰 주택, 커뮤니티 시설, 산책로 등을 효과적으로 배치해 주민 만족도를 높일 사업자를 물색했다.
실제 이 방식으로 처음 조성돼 최근 입주를 시작한 2-2생활권은 현대건설, 포스코건설, 한국토지주택공사(LH), 금성백조주택 등 여러 사업자가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겉보기엔 그냥 하나의 거대한 아파트 단지다. 단지 간 경계를 없애고 여러 단지를 잇는 2.8㎞ 길이의 순환 산책로를 만들어 연결성을 높였다. 이 청장은 "단지 간 계단이나 단차를 없애고 커뮤니티 시설을 중앙으로 배치해 주민 공동체를 복원했다"며 "건설사도 초반에는 반발이 있었으나 지금은 새 도전을 할 수 있었다며 오히려 고마워한다"고 말했다.

행복청은 행복도시 내에 다양한 랜드마크를 건립 중이다. 특히 64개 공공건축물과 83개 교량은 디자인 국제공모와 최첨단 공법, 자재를 적용해 도시를 하나의 건축물 전시장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다. 우수한 디자인과 시공의 품질·안전만 확보된다면 인허가나 규제완화 등 행정적 지원은 행복청에서 책임진다. 일부 공공건축물은 이미 국제적 유명세를 타고 있다. 대통령기록관은 세계 3대 디자인공모전인 미국 IDEA에서 지난해 동상을 받았고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은 세계 최대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됐다.
행복도시의 특화사업 중 단연 돋보이는 것은 스마트시티다. 행복도시는 최초 도시계획 단계부터 자연친화적 도시로 건설됐다. 도시 면적의 52.4%가 녹지이고, 대중교통 중심 교통망, 무려 422㎞에 달하는 자전거도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폐기물 재사용 자원순환 시스템 등을 통해 쾌적한 도시환경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현대자동차 등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을 보유한 파트너들과 협력해 간선급행버스체계(BRT)에 자율주행차 인프라도 2020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스마트시티 축소판으로 5-1생활권에 274만㎡ 규모 '제로에너지타운'을 조성하고 있다. 2022년 완성될 이곳은 도시 기반시설 전반에 첨단 기술이 접목된다. 에너지통합관리 플랫폼, 수소·자율주행차, LED 횡단보도 등이 도입되고 거주민 생활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청장은 "행복도시에서 시도되고 있는 많은 실험은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개선하고 주민 행복을 복원하기 위한 국가적 프로젝트"라며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도시가 탄생할 수 있도록 국민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순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