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中, 北미사일 발사후 최후통첩"…북중관계 파탄 치닫나
입력 2017-05-02 13:40 
사진= 연합뉴스


중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 전례없이 강경한 입장을 내비치면서 북한에 최후 통첩을 보냈다는,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퍼지고 있습니다.

중국 당국과 관영매체들이 북한의 6차 핵실험이 북중관계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잇따라 경고하면서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와 인터넷 매체에선 북중관계 파탄과 관련한 소문들이 넘쳐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홍콩 시사월간지 동향(動向) 5월호의 보도를 인용한 중국의 최후통첩성 비망록 제시 소식이 웨이보에 떠돌고 있습니다. 확인이 어려운 내용이지만 이런 주장이 나오는 것 자체가 그만큼 북중관계가 시련을 겪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동향 보도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최근 박명호 주중 북한대사관 공사를 긴급 초치해 북한이 중거리 스커드 미사일을 발사한 사건에 대해 중국을 대표해 최후 통첩을 했습니다.


소식통은 당시 왕이(王毅) 외교부장이 박 공사를 초치한 자리에 참석해 외교부 부부장으로 하여금 사태의 엄중함을 경고하는 비망록을 낭독시키도록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비망록은 북한이 핵 실험을 고집할 경우 중국은 강력한 항의와 함께 5가지의 엄중한 징벌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경고를 담고 있다고 동향은 전했습니다.

첫째는 유엔 안보리가 통과시킨 경제 제재와 기타 조치를 굳건히 지지할 것이며 둘째 즉시 석유 및 석유연료 공급을 중단하고 셋째 즉각 모든 경협을 중지할 것이라는 내용입니다.

넷째 북한주재 중국대사를 소환해 사태 추이에 따라 진일보한 조치를 취하고 다섯째 양국의 육상 변경과 해상 수계를 닫고 사태 추이를 봐서 봉쇄, 계엄 등 조치도 고려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고 동향은 덧붙였습니다.

동향은 당시 중국 측은 북한 당국이 핵개발을 계속 고집하면 전세계에 북중 군사동맹 조약인 '중조 우호협력 조약'의 파기도 선언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실상 단교나 다름없는 내용에 구체적인 시점도 언급치 않은 동향 보도내용은 중국 당국이나 매체의 어디에도 나오지 않은 소식이기 때문에 신뢰성에 큰 의문이 가지만 현재 돌아가는 정세를 따져보면 비교적 정확한 정황을 담고 있습니다.

동향이 언급하고 있는 박 공사 초치설은 북한이 중국의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태양절(김일성 생일) 다음날인 16일 신포 일대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직후의 일로 보입니다. 당시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는 태양절 행사 참석을 위해 북한으로 귀국하고 베이징을 비우고 있었습니다.

이와 함께 중국 소셜미디어엔 과거 북중관계가 외부에서 생각하는 것보다 그렇게 끈끈한 사이가 아니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중 수교 다음해인 1993년 북한이 2000년 베이징올림픽 유치에 나선 중국을 지지하지 않고 그 보복으로 호주 시드니에 표를 던졌으며 1997년 덩샤오핑(鄧小平) 사망시 김정일이 중국대사관에 조전도 보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선즈화(沈志華) 화둥사범대 교수가 북중 혈맹관계의 철저한 와해를 설파하며 "북한은 중국의 잠재적 적국이고 한국은 중국의 가능한 친구"라고 했던 강연록이 다시 소셜미디어에 회자되고 있습니다.

웨이보엔 또 "북한의 미사일은 정확도가 필요치 않다. 발사만 되면 된다. 어떻든간에 주변에 모두 적만 있기 때문"이라는 우스개까지 나오며 이미 북한도 중국을 적으로 삼고 있다는 주장도 심심찮게 거론됩니다.

중국의 노동절 연휴가 시작되던 지난달 29일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에 나선 것도 중국에 적개심을 보여주려는 뜻이 담겨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이와 관련,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최근 일본의 중국 전문기자 소마 마사루(相馬勝)를 인용해 북한이 내부적으로 '북중관계 파탄을 준비하라'는 학습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과 국경을 접한 신의주, 혜산, 회령 등지의 100명 이상 기업, 공장, 경비대, 군 초소 등에서 '북중관계 파열을 준비하라'는 내용의 북한 노동당 지시내용을 학습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내용은 "중국이 사회주의를 포기하고 미국에 빌붙고 있어 북한은 반드시 중국의 반동 조치를 견제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소마 기자는 전했습니다.

그는 또 중국이 포스트 북한과 중국 전략이익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북한의 핵보유가 중국의 핵심이익을 해치고 북한과 공존은 어려운 것으로 보면서도 한국과 미국이 북한을 무력으로 점령해 세운 한반도 통일 정권도 중국에 극도로 불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은 미국과 함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유엔 한반도 사무기구'를 창설해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중단시키고 개혁·개방을 촉진해 북한의 대외관계를 정상화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고 소마 기자는 주장했습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