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19대 대선] 특목고·자사고 폐지되고 수능 또 대변혁 예고?
입력 2017-04-30 19:30  | 수정 2017-04-30 20:09
【 앵커멘트 】
지난해 전체 사교육비가 18조 원이라는 사실 알고 계십니까?
학생은 학교가 끝나면 학원으로 가야하고, 학부모는 자식 뒷바라지하느라 등골이 휘고 있죠.
대선후보들은 저마다 사교육을 잡겠다며 한목소리를 냈는데, 윤지원 기자가 꼼꼼히 따져봤습니다.


【 기자 】
▶ 인터뷰 : 고유진 / 중학교 2학년
- "학교 공부로 끝낼 수 있으면 좋겠어요. 학원 많이 안다니고."

▶ 인터뷰 : 김민준 / 고등학교 1학년
- "다른 사람이 시키거나 학원 억지로 다니면서 공부를 하는데…."

▶ 인터뷰 : 김현정 / 서울 목동
- "지금 아이들 경쟁이 너무 심하기 때문에…."

지난해 사교육비 규모는 모두 18조 원, 학생 수는 줄었지만, 사교육비는 오히려 늘었습니다.

대선 후보들은 사교육을 줄이고, 공교육을 바로잡겠다며 '대변혁'을 예고했습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대학입시부터 인원에 관계없이 점수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수능 절대평가'를,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특정 점수만 넘기면 대학 입학 자격을 주는 '수능 자격고사화'를 내세웠습니다.

수능보다 내신 등 학생기록부를 더 중요시하겠다는 겁니다.

또, 두 후보 모두 특목고와 자사고를 축소해 사교육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공약도 내걸었습니다.


취지는 좋은데,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수능의 변별력이 떨어지면 대학이 자체 평가요소를 만들어 또 다른 사교육을 부추길 수 있고,

상대적으로 학생기록부가 저조한 재수생과 검정고시생은 대입 기회가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 인터뷰(☎) : 김 현 / 서울경인지역 입학처장협의회장
- "교육 기회의 공평성과 평등 측면에서 수능이 순기능을 하고 있는데, 절대평가제가 되면 순기능이 약화되는 거니까…."

여기에 특목고와 자사고를 축소하면 교육 선택권 침해 우려도 제기될 소지도 있습니다.

결국, 한 번에 모든 걸 바꾸기보다는 충분한 사회적 논의를 거친 점진적 개선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윤지원입니다. [jwyuhn@gmail.com]

영상취재 : 박준영 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