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진돗개 숭배 사이비종교인, 3살 아들 살해후 유기한 범인 검거
입력 2017-04-14 14:41 

사이비 종교에 빠져서 3세 아이를 주걱으로 폭행하는 것을 방관해 사망하게 하고, 이것도 모자라 야산에 시체를 매장한 뒤 다시 발굴해 화장한 엽기적 아동학대 살인사건 범인이 3년 만에 경찰에 붙잡혔다. 사건의 범인이 다름 아닌 친모로 알려지면서 충격이 커지고 있다.
14일 서울 강서경찰서는 악귀가 들렸다는 이유로 신도 최 모씨(41)의 세 살 배기 아들을 때려 숨지게 한 혐의(폭행치사)로 경기 용인에 있는 사이비 종교 집단 훈육 담당자 김 모씨(53·여) 등 3명을 구속하고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김 씨와 함께 아들 시신을 유기하고 다시 이를 파내 화장한 어머니 최 씨도 구속하고 검찰에 넘겼다. 최 씨의 아들이 살아 있었다면 올해 만 6세로 초등학교에 입학할 나이. 미제가 될 뻔 한 사건은 올해 미취학 학생 소재 파악 과정에서 세상 밖으로 드러나게 됐다.
최 씨의 평범한 가정이 파탄에 이르게 된 것은 지난 2014년, 최 씨가 진돗개를 숭배하는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서부터다. 이 문제로 남편과 갈등을 빚던 최 씨는 같은 해 2월 이혼 절차를 밟고 아들과 딸을 데리고 이 종교집단이 운영하는 '공동체'에 들어갔다. 서울 강서구 화곡동 다세대주택에 10여명의 신도가 모여 살던 해당 공동체는 세 집에 걸쳐 진돗개 10여 마리를 영물로 모시며 종교 행각을 펼쳤다. 해당 종교 이름은 '진돗개를 사랑하는 모임'(이하 진사모)으로 알려져 있다. 경찰 조사결과 최 씨의 아들 A군은 해당 종교 시설의 입소 이후 줄곧 '말을 듣지 않는다'는 이유로 학대를 당했다. 급기야 같은 해 7월 A군은 어머니 최 씨가 보는 앞에서 신도 김 씨가 휘두른 나무 주걱에 입술이 터질 정도로 맞았다. A군이 오줌을 못 가리는 게 '악귀'가 들려서라며 이를 내쫓기 위해 때려야한다는 이유에서였다.
맞은 A군은 곧장 숨을 쉬지 않았고 병원에 데려가면 범행이 발각될까 우려한 김 씨와 교주 아내 이 모 씨(49)는 아이 시신을 나무 상자에 넣고 전북 전주 근교 야산에 암매장했다. 사흘 뒤 멧돼지가 시신을 파낼 것이 걱정된 이들은 교주 C(55·구속)씨와 함께 시신을 꺼내 그 자리에서 태우고서 전북 임실 소재 한 강변에 A군의 유골을 뿌렸다. 친모 최 씨 역시 경찰에 거짓으로 실종 신고를 하는 등 사체 유기와 훼손에 적극 가담하는 비정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지난해 3월 친부모가 7세 신원영 군을 무차별 학대해 숨지게 한 '원영이 사건'이 세상에 알려진 지 1년 만에 다시 잔혹한 아동학대 살해사건이 발생하면서 국민적인 공분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반인륜적인 아동학대 사례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 2016년 아동학대 발생 건수는 1만8573건으로 전년인 2015년 1만1715건과 비교해 58% 늘었다. 지난 2012년 6403 비교하면 지난해 발생건수가 4년 만에 3배가량 증가한 것이다.
충격적인 것은 이번 사건과 마찬가지로 아동학대의 가해자가 대부분 친부모라는 사실이다. 지난 2015년 발생한 아동학대 가운데 가정 내에서 발생한 사레가 전체의 84% 이상으로 조사됐다. 아이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지키고 보호해야 할 부모가 아이에게 가장 위험한 존재가 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번 사건이 미취학 아동 소재파악 중 전모가 밝혀지면서 교육당국과 경찰은 초등학교 입학 시즌을 맞아 등교하지 않거나 장기 결석하는 학생에 대한 전수 조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초등학교에 입학해야할 아동 3명의 소재가 여전히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가운데 1명은 부모가 사기 혐의로 지명수배돼 현재 도피 중이다. 다른 1명은 부모가 다른 사람에게 아이를 입양 보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입양을 받았다는 사람이 사망해 아동의 소재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가족의 부모와 자식 간 정으로 맺어진 끈끈한 전통적인 가족관이 현대 사회가 되면서 파편화되면서 나온 현상이자 개인의 이해관계를 더 중시하다보니 정이나 천륜 등을 경시하는 잘못된 가치관의 산물"이라며 "방치된 아동 역시 미래 우리 사회의 자산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사회 전체가 책임감을 가지고 이를 막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태욱 기자 /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