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센카쿠 분쟁 때 일본은…경제의존도 확 낮춰 대응
입력 2017-03-03 15:10 

2012년 9월 당시 일본 민주당 노다 정권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를 선언하자 중국은 즉각 전방위 보복에 나섰다.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격화됐고, 일본 관광 금지조치가 취해졌다. 성난 시위대가 일본 차를 부수는 등 반일감정은 날이 갈수록 격화됐다.
중국의 전방위 압박은 즉각 효과를 발휘했다. 일본의 제조업을 지탱해온 자동차 산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센카쿠 국유화 직후인 10월 한 달 만에 도요타 혼다 닛산의 중국내 판매량이 반토막이 났다. 2012년도에만 일본 차업계의 순이익이 1조7000억원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였다. 일본에 몰려들던 중국인 관광객의 발길도 뚝 끊겼다.
2012년 10월 관광객은 6만9713명(관광청 집계)으로 전년 대비 무려 34%나 급감했다. 관광객 감소는 이듬해인 2013년 여름까지 1년 내내 지속됐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는 "중일 분쟁이 지속되면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일본은 또다시 20년 불황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윽박지르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은 물러서지 않았다. 센카쿠 국유화가 적절했는지를 놓고 일본 내 여론이 양분되지도 않았다. 2012년 말 출범한 아베 2차 정권은 오히려 센카쿠 영유권 주장을 더 노골적으로 주장하며 우익노선을 강화했다. 영토주권을 위해선 중국의 단기적인 보복은 감내해야 한다는 분위기였다. 이에 앞선 2010년 중국의 희토류 수출 금지 조치 당시에 쌓은 경험도 냉정한 대처의 밑거름이 됐다. 중국의 일본 전자 제조업에 타격을 주기 위해 희토류 수출을 금지시켰지만 일본은 단기 손실을 감수하고 수입선 다변화로 맞섰고, 결국 희토류 가격 폭락은 중국에 큰 타격으로 되돌아왔다.

일본은 센카쿠 국유화 이후 중국의 무역보복을 상수로 보고 장기전략을 수립했다.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에 따라 새로운 공장건설이나 투자를 중국 대신 동남아 등지로 돌려 중국 의존도를 낮췄다. 일본의 수출액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19.7%에서 2014년 17.5%로 떨어졌다. 중국 시장 공략도 홍콩 대만 태국 등의 화교 기업들과 손잡고 진출해 보복 위험을 피했다.
센카쿠 국유화 이후 4년 반, 변한 것은 없다. 센카쿠를 둘러싼 중일의 대립은 오히려 심화됐다. 외교관계도 긴장상태다. 그러나 현재 중일 무역 경제관계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 일본 기업에 대한 장기보복은 결국 중국 소비 투자에 마이너스가 된다는 것을 중국측도 뻔히 알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중국측에서 적극적인 투자를 요청하고 있다.
[도쿄 = 황형규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