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암흑의 한전3인방…반등까지 먼 길
입력 2017-02-13 17:47  | 수정 2017-02-13 20:10
요즘 한국전력 주가가 풀이 확 죽었다. 전기요금으로 먹고사는 한전이 지난해 말 정부가 주택용 전기요금 체제를 단순화해 요금을 내리는 내용을 골자로 한 주택용 전기요금 개편안을 확정하면서 직격탄을 맞은 분위기가 역력하다. 그러자 천정부지로 치솟던 2014년 말부터 지난해 5월까지 주가는 옛날 일이 됐다. 당시 한전은 삼성동 용지를 10조원이 넘는 가격에 현대자동차그룹에 팔았다. 매각 대금을 누적 적자 해소에 활용하면서 주가는 지난해 5월 최고치를 찍었다.
그러던 한전 주가는 1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1.21% 오른 4만1800원으로 장을 마쳤다. 지난해 5월 주가가 6만2600원으로 최고치를 찍었을 때와 비교하면 33%나 급락한 것이다.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는 주택용 전기요금 개편안을 발표하며 "연평균 11.6%의 전기요금 인하 효과가 날 것"으로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한전의 영업이익이 한 해 1조원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될 전망이다. 지난 2~3년간 바닥을 기던 에너지 가격이 지난해를 기점으로 오를 조짐을 보이는 것도 부담 요인 중 하나다. 2013년 이래 매년 감소세를 보였던 연료비는 지난해 바닥을 찍고 올해부터 상승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류제현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발전소 주요 연료인) 석탄 단가가 지난해 t당 10만5000원에서 올해 11만3000원으로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한전이 여전히 매년 10조원 안팎 영업이익을 낼 수 있다"고 분석하며 단기간 내 전기요금을 올릴 명분이 없다고 내다본다. 한전 입장에서는 주가 상승 촉매제를 찾기 힘든 상황이다. 덩달아 한전과 함께 상장돼 있어 '한전 3총사'로 불리는 한전KPS와 한전기술 주가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전KPS는 발전소 정비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한전기술은 원자력발전소 설계가 주력 사업이다. 이들은 환경 관련 규제 강화 움직임이 주가 상승을 짓누르고 있는 모양새다.
이날 한전KPS 주가는 5만4000원으로 마감해 지난해 2월 기록한 52주 최고가(9만6300원) 대비 44%나 떨어진 상태다. 한전KPS의 경우 2015년 1752억원이던 영업이익이 지난해 1058억원으로 크게 위축된 여파가 컸다.
이날 2만5900원으로 마감한 한전기술 주가도 지난해 8월 52주 최고가(주당 3만5500원) 대비 27% 하락했다. 한전기술은 원전 설계에 상당한 역량을 갖췄지만 원전을 줄이려는 분위기 탓에 실력을 발휘할 기회가 사라지고 있는 점이 주가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국외에서 굵직한 '한 방'이 나와야 주가가 상승세로 돌아설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국외 발전소 수주로 '설계·건설·정비'로 이어지는 한전 계열사 일감이 마련돼야 한다는 논리다. 물론 '한전 3총사'의 주가가 저평가돼 있는 점은 상승세로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 주가순자산비율(PBR) 0.35배 안팎에 거래되는 한전은 적자 늪에 빠졌던 2011년 PBR(0.3배) 부근까지 내려온 상태다. 연말 예상 실적 대비 주가수익비율(PER) 역시 5배 안팎에 불과하다.
한전KPS와 한전기술은 연말 예상 실적 대비 PER가 15배 안팎으로 국내 비교 기업인 LS산전(14~15배), 글로벌 비교 업체인 GE(18배)나 지멘스(15배)와 비슷한 수준이다.
3사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국외 사업 수주에 성공한다면 주가가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주가가 오르려면 국내 '천수답 영업'에서 벗어나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인도 등 신흥국 시장을 집중적으로 노려야 한다는 얘기다.
[홍장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