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구제역 대란' 주의보…밀집 사육 환경에 '돼지'도 안전할 수 없어
입력 2017-02-09 10:04 
구제역/사진=MBN
'구제역 대란' 주의보…밀집 사육 환경에 '돼지'도 안전할 수 없어


정부가 높은 항체 형성률을 근거로 예방을 호언장담하던 구제역 바이러스가 충북과 전북, 경기 지역 소 농가에서 잇따라 발생하면서 가축 전염병 창궐에 대한 공포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소 농가에서만 발생했지만 만약 바이러스가 돼지 농가로까지 번질 경우 2010~11년 대한민국 전체를 패닉으로 몰아넣었던 '구제역 대란'이 재연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2010~11년 구제역 사태 때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충남·북과 경남·북, 경기, 강원 등지의 6천241개 농가를 휩쓸며 소·돼지 348만 마리가 살처분되고 매몰지에서 침출수가 유출돼 인근 토양과 지하수까지 오염되는 재앙이 빚어졌습니다.

방역 당국이 돼지 전파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일단 한번 번지기 시작하면 돼지가 소보다 구제역 확산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입니다.


돼지의 경우 소보다 훨씬 좁은 공간에 여러 마리를 빽빽하게 가둬 키우는 '밀식 사육'을 해 한 마리가 걸리면 농장 내 모든 돼지들에게 순식간에 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항체 형성률이 소보다 떨어지는 것도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부분입니다.

당국이 밝힌 전국 돼지 농가의 항체 형성률은 75.7%로, 소 농가의 97.5%보다 크게 떨어집니다.

아직 그 이유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10마리의 돼지에 백신을 접종해도 2~3마리에서는 구제역을 견딜 만한 수준의 항체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과거 감염 사례만 봐도 구제역 피해는 대부분 돼지에 집중됐습니다.

2014년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소 5개 농장, 돼지 180개 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했고, 작년 1~3월에는 양돈농장 21곳에서만 구제역이 터졌습니다.

이번에 한우 사육농가에서 잇따라 구제역이 터지자 방역 당국이 "그동안 구제역이 빈발했던 돼지 농가에 방역과 검사를 집중했고 소 농가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측면이 있었다"고 밝힌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당국의 설명처럼 그동안 소보다는 돼지 농가 쪽에 방역을 집중했기 때문에 이번 구제역이 돼지 농가로까지 확산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소 농가는 10%의 표본을 뽑아 통계 예찰을 하지만 돼지는 모든 농가를 대상으로 1년에 두 번씩 구제역 검사를 한다.

또 표본 농가에서 무작위 선정된 1마리만 검사를 하는 소와 달리 돼지는 농가당 13마리를 검사하고 항체 형성률이 60%를 넘지 않으면 열흘 이내에 다시 16마리를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해 기준에 미달하면 과태료를 부과한다.

소 농가보다 훨씬 철저하게 검사를 하는 것입니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9일 "현재 사용하는 구제역 백신이 소 전용으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돼지는 항체 형성이 잘 안 된다"며 "따라서 돼지 농가의 경우 항체 검사를 소보다 훨씬 촘촘하고 자주 하도록 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밖에 외부인의 출입이 비교적 자유로운 소 농가와 달리 돼지 농가는 구조가 훨씬 폐쇄적이어서 외부인의 출입이 어렵다는 것도 전문가들이 구제역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전북대 수의대 조호성 교수는 "방심하면 안 되지만 돼지의 경우 그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소보다 훨씬 촘촘하게 방역과 검사를 해왔기 때문에 과거처럼 대규모로 구제역이 창궐할 가능성은 작게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