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만 오른 물가지수 `저유가의 왜곡`
입력 2017-01-17 17:05 

배추 가격이 지난해 69.6% 오르는 등 체감물가는 고공행진했지만 지난해 전체 물가상승률은 1%에 그쳤다. '정부의 공식 발표를 신뢰하기 힘들다'는 국민들의 시선이 확산되는 가운데, 공식 물가 작성 및 발표 기관인 통계청은 두 가지 이유로 이 차이를 설명한다.
우선 조사 방식이다. 전체 물가를 결정하는 대상 품목은 460개다. 농축수산물부터 의류, 전기요금까지 일상생활을 망라하는 다양한 품목들이 해당된다. 개별 상품·서비스마다 가중치가 매겨져 있어서 특정 품목의 등락폭이 크더라도 전체 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17일 "구입 횟수가 잦지 않은 자동차나 대형 가전제품들까지 포함한 460개 품목을 합산해 평균을 내면 체감하는 것보다는 물가가 덜 오르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며 "일반 시민들은 가장 비쌀 때와 가장 쌀 때를 주관적으로 비교하는 경향도 있어서 체감물가와의 차이가 큰 것 같다"고 말했다.
두 번째는 국제유가다. 생산 비용과 직결되는 유가가 지난해 배럴당 40달러 선에서 움직이면서 '유가가 물가를 억누르는 현상'이 계속됐다. 지난해 말 산유국들이 생산량을 감축하기로 합의한 후로 유가가 소폭 올랐지만, 여전히 가장 비쌀 때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었다. 이에 따라 유가에 직접 영향을 받는 전기·수도·가스는 지난해 마이너스 물가상승률(-9.2%)을 기록했다.
'공식 소비자물가지수와 체감물가 사이의 괴리가 너무 크다'는 지적에 정부는 가구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물가지표'를 만들기로 했다. 통계청은 지난 5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2017년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하면서 1인 가구와 65세 이상 고령 가구의 소비·지출 패턴에 맞는 물가보조지표를 작성하겠다고 했다.

두 가구 유형의 증가세가 빠르고,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 이들을 우선 대상으로 정했다. 2015년 기준으로 1인 가구는 520만3000가구, 고령자 가구는 372만가구로 나타났다. 각각은 전체 1911만1000가구 중 27.2%와 19.5%를 차지해 둘을 합하면 절반에 가까운 비중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맞춤형 지표를 만드는 것"이라며 "가구의 사정에 따라 지표의 체감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하게 체감도를 높이고 정책에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세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