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대공원, 황새 및 원앙에 AI 양성…동물원 임시 휴장
입력 2016-12-19 11:55 
서울대공원 / 사진=연합뉴스
서울대공원, 원앙에 AI 양성…동물원 임시 휴장


서울대공원에서 폐사한 황새와 사육 중인 원앙에서 AI 양성 반응이나와 서울시가 동물원을 임시 휴장하고 천연기념물 원앙도 살처분하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

서울시는 황새 사체 중간 검사 결과 H5 양성으로 판정됐고, 같은 칸에서 사육 중인 원앙 5마리도 H5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오늘(19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지난 16일 황새 2마리가 폐사해 AI를 의심하고, 17일부터 서울대공원과 어린이대공원 동물원을 휴장했다. 이어 황새와 같은 칸에서 사육하던 아프리카저어새·흑따오기·원앙 등 18마리의 시료를 채취해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보내 검사했습니다.

그 결과 원앙 5마리에서 H5 양성반응이 나와 원앙 8마리를 예방적 차원에서 지난 18일 밤 살처분했습니다.


서울시는 "황새 마을 내 다른 전시장에 있는 11종 120여 마리에 대한 추가 분변검사도 국립환경과학원에 의뢰한 상태"라며 "18일부터 중앙 역학조사반이 서울대공원을 찾아 감염 경로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인근 청계 저수지 혹은 동물원 주변을 날아다니는 새들과 접촉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역학 조사가 진행 중인만큼 감염 경로는 속단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울시는 "서울대공원 개장 이래 인근 지역이 아닌 대공원 동물원 안에서 AI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라며 "AI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휴장은 계속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서울시는 이날 서울대공원 조류 1천200여 마리 전체의 분변을 수거해 국립환경과학원에 정밀 검사를 의뢰할 예정입니다. 고병원성 AI 양성 개체는 긴급행동 지침에 따라 살처분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서울시는 "서울대공원은 국제적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을 보유하고 있어 앞으로의 방역 대책은 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문화재청과 지속해서 긴밀하게 협의할 예정이다"라고 전했습니다.

천연기념물은 문화재청, 국제적 멸종위기종은 환경부의 허가를 각각 얻은 뒤 필요에 따라서는 살처분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서울대공원에서 천연기념물이나 국제적 멸종위기종을 살처분한 사례는 이번 원앙이 처음입니다.

서울시는 동물원 직원을 외부와 차단하고자 40명을 일주일간 동물원에서 숙식, 근무토록 했습니다. 조류와 접촉한 사육 직원 15명과 수의사 4명에게는 보호복을 지급하고, 항바이러스제재인 타미플루를 복용하게 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달 23일 한강과 중랑천 등의 조류 탐조대를 폐쇄하고, 조류관찰 프로그램을 중단한 바 있다. 또 철새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한강 생태공원 4곳도 문을 닫은 상태입니다.

서울시는 "한강 등 야생 조류 서식지 17곳에서 조류 분변을 수거해 1천55건을 검사한 결과 지금까지는 모두 고병원성 AI 바이러스 음성으로 나왔다"고 설명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