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임종룡 “내년 가계부채 분할상환 비율 55%까지 높인다” (종합)
입력 2016-12-12 09:50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12일 여의도 금융감독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금융당국 합동리스크 점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2일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개선을 가속화하고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며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와 분할상환 목표치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금융감독원 대회의실에서 ‘금융당국 합동리스크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9월말 현재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와 분할상환 비율은 각각 41.4%와 43.4% 수준이다.
임 위원장은 금년도 목표수준(고정 40%, 분할 45%)을 거의 달성한 만큼 내년도 고정금리와 분할상환 목표치를 상향 조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내년도 고정금리와 분할상환 목표치를 각각 45%와 55%로 올려 잡았다. 당초 목표치는 고정금리 42.5%, 분할상환 50%였다.
임 위원장은 최근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 미국 금리 인상과 신정부의 정책변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이라는 정국변화까지 발생했다”며 금융시장 잠재위험요인에 대한 금감원의 점검 강화를 주문했다.
임 위원장은 경제 환경에 불확실성이 큰 만큼 금융시장의 최일선에서 금융안정을 책임지고 있는 금융당국의 역할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며 현재 금감원이 상호금융권 중심으로 시행중인 가계대출 리스크 점검의 경우 대상기관을 확대하고 점검 기간을 연장하는 등 관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외환건전성은 금융기관 생존에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모든 업권에 대해 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점검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아직까지 금융시장에 불안이 확대되지는 않고 있고 해외 기관들도 국내 경제·금융 전망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면서도 금융시장 위험요인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채권시장안정펀드 등 시장 안정화대책들도 필요시 즉각 실행할 수 있도록 준비해 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금리 상승 등으로 취약계층이 자금조달에 애로를 겪을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은 금융권이 본연의 자금중개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감독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금융회사들이 리스크 관리를 명목으로 신용위험에 대한 체계적 고려 없이 서민 등 취약계층의 여신을 일시에 회수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