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단독] 조폐공사 "주민등록증 들고다닐 필요없죠"
입력 2016-11-29 17:47  | 수정 2016-12-01 17:39
김화동 한국조폐공사 사장이 스마트폰에 띄운 모바일 신분증을 보여주고 있다. [이승환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총아 '블록체인(block chain)'을 활용한 모바일 신분증 개발이 완료돼 내년에 상용화된다.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조차 들고 다닐 필요 없는 '지갑 없는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셈이다.
29일 매일경제신문과 만난 김화동 한국조폐공사 사장은 "블록체인 업체 코인플러그와 협력해 위·변조가 불가능한 모바일 신분증 개발을 거의 완료한 단계"라며 "내년 상반기 베타테스트를 거쳐 하반기에 실제 서비스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코인플러그는 블록체인 전문기업으로 KB국민카드와 손잡고 국내 금융권 최초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개인인증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조폐공사가 개발 중인 모바일 신분증은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은 뒤 지방자치단체 등 신분증을 발급하는 기관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발급받는 형태다. 휴대폰에는 전혀 개인정보가 남지 않고 암호화된 블록체인 인증서만 저장되기 때문에 분실·도난·위조가 어렵다. 김 사장은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신분증 관련 앱은 단순히 신분증 사진을 찍어 휴대폰에 보관하는 정도"라며 "조폐공사가 개발 중인 앱은 아예 앱으로 실물 신분증 자체를 대체하는 전혀 다른 차원의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조폐공사는 중·고등학교가 발행하는 학생증, 여성가족부가 발행하는 청소년증 등 우선 적용이 쉬운 신분증부터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모바일 신분증으로 대체 발급할 방침이다. 장기적으로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전자여권 등 모든 신분증을 모바일 신분증으로 대체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해당 신분증의 발급 기관들과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김 사장은 "가장 수요가 많은 주민등록증은 행정자치부, 전자여권은 외교부와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라 당장 모바일 신분증으로의 대체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며 "학생증같이 법적 이슈가 약한 신분증부터 조심스럽게 접근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김 사장은 "모바일 신분증이 상용화되면 이를 이용한 모바일 전자투표가 가능해지는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다른 행정기관들도 모바일 신분증의 필요성에 충분히 공감할 것"으로 기대했다. 조폐공사는 모바일 신분증 사업과 함께 내년부터 블록체인을 활용한 모바일 상품권 사업에도 나선다. 중소 상공인이나 지자체 등 예산이 부족한 곳도 모바일 상품권을 쉽게 발행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김 사장은 "백화점이나 유통업체들이 발행하는 모바일 상품권은 도용이나 해킹 문제가 있다"며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하면 해킹 위협이 없고 사용처 추적도 가능해 지하경제를 양성화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화폐 제조가 주 업무인 조폐공사가 이처럼 블록체인을 활용한 신사업에 나선 것은 각종 페이와 신용카드 사용 증가로 갈수록 지폐 제조량이 줄면서 새 먹거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2007년까지만 해도 20억장 규모였던 은행권 제조량은 2014년 6억7000만장으로 7년 새 3분의 1로 줄었다.
모바일 신분증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면 개인정보 해킹 위험은 없으면서 간편하게 온·오프라인에서 신분 증명이 가능해진다.
[정지성 기자 / 김세웅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