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대국민 담화, '최순실 정국' 새 국면…여야 분열 조짐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가 '최순실 게이트 정국'을 새로운 국면으로 끌고 가고 있습니다.
박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특검 수사까지도 받겠다고 밝힌 데 대해 여권과 야권 모두 내부에서 엇갈린 평가가 나오면서 분열의 조짐마저 엿보이는 형국입니다.
여야에서 각각 내분이 심화할 경우 지금까지 야권 3당과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가 여권의 친박(친박근혜) 주류를 포위한 채 압박하는 구도였던 최순실 정국은 정상화 대신 더욱 복잡한 구도로 흘러갈 것으로 보입니다.
새누리당은 당 지도부와 주류 친박계가 박 대통령의 담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야권의 초당적 협조를 요청한 반면, 비박계는 여전히 박 대통령의 후속 조치가 여전히 크게 미흡하다는 반응이어서 대조를 이뤘습니다.
특히 일부 비박계는 "2선 후퇴에 대한 언급이 없고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였다"고 비판하며 진정성을 의심했습니다.
염동열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검찰수사는 물론 특검수사까지 응하겠다고 한 것은 대통령으로서 권한을 내려놓고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강한 의지와 진정성을 담은 호소였다"면서 "현 난국을 함께 헤쳐나갈 수 있도록 초당적 협조로 임해주길 간곡히 요청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정현 대표는 "진정성이 있었다"면서 "영수 회담을 이른 시일 안에 열어 야당 대표로부터 국민의 꾸지람을 듣고 국정 공백은 최소화하자는 협조를 요청해야 한다"고 박 대통령에 당부했습니다.
반면 한 비박계 중진은 한 매체와 통화에서 익명을 전제로 "대통령이 국정에서 손을 떼겠다는 언급이 없다. 이는 내일 촛불집회를 누그러뜨리고 면피하려는 의도일 뿐"이라며 "잘못은 최순실이 저질렀고 자신은 관리하지 못한 도덕적 책임만 지겠다는 것이냐"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또 "검찰 수사에 가이드라인이나 치고 울먹거리면서 지지자들을 자극해 도피하려는 것"이라고 비난했습니다.
나경원 의원은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국정 운영 등에서 책임총리제 시행, 국회와 협의 등 대통령 권한의 나눔과 내려놓음에 대해 말씀했으면 좋았을 듯해 아쉬움이 남는다"면서 "국민의 마음을 제대로 읽지 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사태에서 약간의 온도 차를 보여온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의 간극은 더욱 벌어지는 모양새입니다.
민주당은 박 대통령의 담화 내용을 '진정성 없는 개인 반성문'으로 규정하고 정권퇴진 운동까지 언급하는 등 오히려 공세의 수위를 올렸습니다.
반면 국민의당은 박 대통령이 특검 수사까지도 받을 수 있다고 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등 호의적 반응을 내놓았습니다.
특히 민주당은 박 대통령이 검찰에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고 비난한 반면, 국민의당은 "박 대통령이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았다"고 평가해 완전히 대조적 시각을 보였습니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분노하는 민심에 전혀 대답이 되지 못했고 진정성이 없는 개인 반성문에 불과했다"면서 "국정을 붕괴시킨 뿌리가 대통령 자신임을 조금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추 대표는 "심지어 검찰 수사 가이드라인까지 제시하고 있다"면서 "비리 몸체인 대통령을 제대로 조사할 수 있는 특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특별법에 의해 야당이 추천하는 특검이어야 한다"며 별도특검 수용도 추가로 요청했습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자신도 검찰 수사에 임할 것이며 특검 수사도 수용할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잘한 일"이라며 "지금까지 대통령이 해오던 검찰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진정성은 이해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박 비대위원장은 "'모든 책임을 질 각오가 돼 있다'고 말씀한 것도 환영한다"면서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있을지 미심쩍게 생각하지만, 국민 반응도 주시할 것"이라며 일부 각론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긍정적인 시각을 보였습니다.
박 대통령이 제안한 여야 대표 회담에 대해서도 추 대표는 3가지 전제 조건을 들어 유보적 태도를 취했지만, 박 위원장은 "내가 (회담을) 받겠다고 했는데 안 해주면 어떡하느냐"며 사실상 수용 방침을 시사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가 '최순실 게이트 정국'을 새로운 국면으로 끌고 가고 있습니다.
박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특검 수사까지도 받겠다고 밝힌 데 대해 여권과 야권 모두 내부에서 엇갈린 평가가 나오면서 분열의 조짐마저 엿보이는 형국입니다.
여야에서 각각 내분이 심화할 경우 지금까지 야권 3당과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가 여권의 친박(친박근혜) 주류를 포위한 채 압박하는 구도였던 최순실 정국은 정상화 대신 더욱 복잡한 구도로 흘러갈 것으로 보입니다.
새누리당은 당 지도부와 주류 친박계가 박 대통령의 담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야권의 초당적 협조를 요청한 반면, 비박계는 여전히 박 대통령의 후속 조치가 여전히 크게 미흡하다는 반응이어서 대조를 이뤘습니다.
특히 일부 비박계는 "2선 후퇴에 대한 언급이 없고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였다"고 비판하며 진정성을 의심했습니다.
염동열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검찰수사는 물론 특검수사까지 응하겠다고 한 것은 대통령으로서 권한을 내려놓고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강한 의지와 진정성을 담은 호소였다"면서 "현 난국을 함께 헤쳐나갈 수 있도록 초당적 협조로 임해주길 간곡히 요청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정현 대표는 "진정성이 있었다"면서 "영수 회담을 이른 시일 안에 열어 야당 대표로부터 국민의 꾸지람을 듣고 국정 공백은 최소화하자는 협조를 요청해야 한다"고 박 대통령에 당부했습니다.
반면 한 비박계 중진은 한 매체와 통화에서 익명을 전제로 "대통령이 국정에서 손을 떼겠다는 언급이 없다. 이는 내일 촛불집회를 누그러뜨리고 면피하려는 의도일 뿐"이라며 "잘못은 최순실이 저질렀고 자신은 관리하지 못한 도덕적 책임만 지겠다는 것이냐"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또 "검찰 수사에 가이드라인이나 치고 울먹거리면서 지지자들을 자극해 도피하려는 것"이라고 비난했습니다.
나경원 의원은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국정 운영 등에서 책임총리제 시행, 국회와 협의 등 대통령 권한의 나눔과 내려놓음에 대해 말씀했으면 좋았을 듯해 아쉬움이 남는다"면서 "국민의 마음을 제대로 읽지 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사태에서 약간의 온도 차를 보여온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의 간극은 더욱 벌어지는 모양새입니다.
민주당은 박 대통령의 담화 내용을 '진정성 없는 개인 반성문'으로 규정하고 정권퇴진 운동까지 언급하는 등 오히려 공세의 수위를 올렸습니다.
반면 국민의당은 박 대통령이 특검 수사까지도 받을 수 있다고 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등 호의적 반응을 내놓았습니다.
특히 민주당은 박 대통령이 검찰에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고 비난한 반면, 국민의당은 "박 대통령이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았다"고 평가해 완전히 대조적 시각을 보였습니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분노하는 민심에 전혀 대답이 되지 못했고 진정성이 없는 개인 반성문에 불과했다"면서 "국정을 붕괴시킨 뿌리가 대통령 자신임을 조금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추 대표는 "심지어 검찰 수사 가이드라인까지 제시하고 있다"면서 "비리 몸체인 대통령을 제대로 조사할 수 있는 특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특별법에 의해 야당이 추천하는 특검이어야 한다"며 별도특검 수용도 추가로 요청했습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자신도 검찰 수사에 임할 것이며 특검 수사도 수용할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잘한 일"이라며 "지금까지 대통령이 해오던 검찰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진정성은 이해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박 비대위원장은 "'모든 책임을 질 각오가 돼 있다'고 말씀한 것도 환영한다"면서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있을지 미심쩍게 생각하지만, 국민 반응도 주시할 것"이라며 일부 각론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긍정적인 시각을 보였습니다.
박 대통령이 제안한 여야 대표 회담에 대해서도 추 대표는 3가지 전제 조건을 들어 유보적 태도를 취했지만, 박 위원장은 "내가 (회담을) 받겠다고 했는데 안 해주면 어떡하느냐"며 사실상 수용 방침을 시사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