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9월 은행 가계대출 6조원 이상 증가, 가계빚은 GDP의 90% 넘어
입력 2016-10-12 17:08 

1300조를 바라보는 가계부채, 역대 최저치로 떨어진 소비여력. 지난 1997년 IMF 금융위기 당시 경제회복의 원동력이었던 가계의 현주소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신용비율은 90%로 현행 통계기준이 편제된 2001년 이후 사상 처음으로 90%대를 넘어섰다. 올해 2분기 기준 가계가 진 빚은 1257조원에 달한다.
가계가 ‘빚더미에 짓눌리면서 20년전 경제의 구원투수에서 이젠 위험요인으로 전락하고 있는 셈이다.
또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잔액(정책 모기지론 포함)은 688조4000억원으로 8월 말보다 6조1000억원 늘었다. 8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세를 보였던 지난달 8조6000억원보다는 증가폭이 줄었지만, 2010년~2014년 9월의 평균 증가폭인 1조6000억원의 4배에 달한다.

경제규모가 커짐에 따라 가계부채의 규모가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문제는 속도다. 지난 2분기 가계부채 증가율은 전년대비 11.1%에 달한다. 2014년 3분기 6.3%를 기록한 이후 증가세가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다. 정부가 가계대출에 대한 소득 심사를 강화하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집단대출 보증 비율을 낮추는 등 잇따라 브레이크를 밟고 있지만 가계부채의 고삐를 채우기엔 역부족이다.
변성식 한은 금융안정국 안정총괄팀장은 GDP 대비 신용비율의 절대적인 수준만으로 신용위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기업들이 부채를 줄이는 가운데 가계신용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책당국은 아직까지 가계부채가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부채가 당장 경제 위기를 촉발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빚을 진 사람들이 소득의 많은 부분을 원리금 상환에 쓰게 되고 내수를 위축시키는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지난 11일 공개된 9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금융위기는 예기치 않은 메커니즘을 통해 나타날 소지가 크고 미국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주택가격과 가계부채가 큰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다수였다”며 현재 우리나라 금융상황을 분석할 때 큰 문제가 없다는 관점에서 보기보다 어딘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점검해 나가는 방식으로 분석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의 가계부채 증가세는 소비를 제약해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연내 미 금리인상 등 대내외 충격에 따라 금리가 상승하거나 주택가격이 떨어지면 금융불안을 야기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가계가 세금, 이자 등을 제외하고 쓸 수 있는 돈에서 얼마를 지출했는지 보여주는 지표인 평균소비성향은 올해 2분기 70.9%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 달에 100만원을 버는 가구가 70만9000원만 소비했다는 뜻이다.
[부장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