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이 남성과 비교하면 경제활동 참여와 소득, 임금 등에서 아직 큰 차이가 나지만, 최근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는 세계경제포럼(WEF)의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WEF는 경제 부문 성 격차 감소를 목적으로 2014년부터 한국, 터키, 멕시코, 일본과 연계해 운영해온 양성평등 태스크포스(TF) 활동 보고서를 19일 홈페이지에 공개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WEF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세계 성 격차 보고서 2015'를 토대로 한국의 성 격차 변화 추이를 전년(2014년)과 비교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기술했습니다.
지난해 성 격차 보고서에서 한국의 성 평등 지수는 0.65(1에 가까울수록 평등, 여성의 지위가 남성의 65%라는 뜻)로 145개 조사대상국 가운데 115위로 나타나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이를 분야별로 보면 경제적 참여 및 기회의 경우 여성이 남성의 56% 수준에 그쳐 성 격차가 44%나 됐습니다.
또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할 때 받는 임금도 여성이 남성의 55% 수준으로, 격차가 45%에 달했습니다.
추정 소득도 경제활동 참여율과 마찬가지로 여성이 남성의 56%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WEF는 "한국의 경제적 성 격차는 여전히 상당하지만, 최근에 진전을 보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양성평등 태스크포스를 만든 첫해에 그 격차를 9% 좁혔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태스크포스 참여 기관·기업 내에서 진급된 여성 비율도 15.6%에서 29.9%로 높아졌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한국의 입법 및 정책 개발은 경제적 성 격차를 좁히기 위한 근원적이고 장기적인 부분에 집중되고 있으며, 박근혜 정부는 여성의 경제참여율을 지속적으로 높여왔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여성가족부는 "WEF가 한국에서 설문조사 등을 통해 자체 조사한 내용이어서 얼마나 현실을 반영한 정확한 수치인지 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WEF는 이번 보고서에 자체 조사 자료가 아닌 세계은행, 국제노동기구(ILO) 등의 기존 성 격차 통계 수치를 그래프 형태로 함께 실었습니다.
세계은행의 2014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전체 노동자 중 시간제(part time employed) 노동자의 비율은 여성이 15%, 남성이 7%였습니다. 또 하루 평균 무급으로 일하는 가사노동 시간은 여성이 4.6시간, 남성이 0.8시간이었습니다.
ILO의 2012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관리직 비율은 여성이 11%로 남성(89%)보다 크게 떨어졌으며, 전문직 노동자의 성 비율은 여성 45%, 남성 55%로 집계됐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