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中 화웨이 겨냥 미국 의중은 `통상+안보+북한` 다목적 포석
입력 2016-06-03 15:38 

화웨이를 ‘타깃으로 한 미국 정부의 압박은 통상·안보·북한 등의 이슈를 밀어붙이기위한 다목적 포석으로 판단된다. 북핵 해법을 둘러싼 근본적인 시각차와, 남중국해 패권을 둘러싼 마찰로 미·중 간 긴장이 고조되고 통상마찰까지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미정부가 강경조치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는 분석이다.
화웨이가 미·중 통상 갈등의 중심에 서게 된 것은 화웨이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이 확대되면서부터다. 미국을 대표하는 스마트폰 제조업체 애플이 아이폰 판매에 고전하면서 1분기 실적이 부진했지만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화웨이는 성장을 이어가며 애플 아성을 위협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내 아이폰 시장점유율이 급락하고 있는 반면 미국에서의 화웨이 스마트폰 판매는 늘어나는 추세다. 미국에서는 이를 두고 화웨이가 기술적인 진전을 이뤘다기보다 중국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에 따른 위한화 약세와 이로인한 가격경쟁력으로 화웨이가 미국시장을 잠식하고 있다는 불만이 크다. 또 화웨이는 미·중 사이버안보 갈등에 있어서 미묘한 위치에 놓여 있다. 화웨이가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안테나와 무선송수신기기 등 통신장비를 생산하는데, 중국 정부가 이를 이용해 미국에서 첩보활동을 한다는 것이다. 화웨이가 논란이 된 것은 지난 2012년때부터다. 당시 미국 하원 정보위원회가 중국측 스파이활동에 화웨이가 협조한다는 의혹을 제기한뒤 미국 행정부에 화웨이 통신장비 구매금지를 요구했다. 전직 중앙정보국장이 하원에 출석해 화웨이가 세계 각국에서 구축한 통신시스템 비밀 정보를 중국 당국과 공유해왔다”고 증언한후, 미국 뿐만 아니라 유럽과 캐나다에서도 화웨이 통신장비 규제론이 제기됐다. 100여개국에 통신장비를 수출하는 화웨이는 스웨덴 에릭슨과 함께 세계최대 통신장비 공급업체로 꼽힌다. 화웨이는 북한 핵문제와도 연관이 있다. 북한 핵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미국은 각종 수단을 총동원해 북한 자금줄 차단에 나서고 있는데 화웨이 스마트폰이 북한에서 판매되고 있다는 점이 화웨이와 북한간 밀착설에 대한 미국측의 의혹을 키우고 있다. 미국 정부 조치가 표면적으로는 화웨이를 향하고 있지만 실상은 중국 정부를 겨냥하고 있다는 해석도 설득력이 있다. 미국 재무부가 지난 1일 북한을 주요 자금세탁 우려 대상국으로 지정하면서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데 이어 하루만에 중국 대표기업 화웨이에 대한 조사 착수 사실을 공표, 중국에 대한 전방위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특사격인 리수용 당 중앙위 부위원장 회동 직후에 화웨이에 대한 조사 방침이 나왔다는 점에서 중국이 대북제재에 느슨해진 듯한 모습을 보인 데 대해 경고의 메시지라는 분석도 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제이콥 루 미국 재무장관은 오는 6일부터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8차 미·중 경제전략대화에서 통상·안보·북한 등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분명한 의견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특히 지난달 31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핵 야망을 포기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방안이 미·중 전략대화에서 핵심 의제로 논의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베이징 = 박만원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