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스모그현상 원인은 대기오염…미세먼지 피해에도 영향
입력 2016-05-30 11:02 
공기오염의 주범, 스모그현상의 원인은 무엇일까.

스모그(smog)란 연기(smoke)와 안개(fog)의 합성어로, 대기 오염에 의하여 나타나는 연무 현상을 말한다.

햇빛이 있는 맑은 날에 대기 속의 자동차 매연, 가스, 연기, 먼지 등 여러 오염 물질이 햇빛의 영향으로 화학 작용을 일으켜 발생한다. 스모그 현상은 동·식물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1952년 영국 런던의 스모그 현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에서 시작된 스모그로 인한 미세먼지의 피해를 입고 있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전날부터 축적된 국내외 미세먼지 영향과 대기정체로 인해 전 권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미세먼지 예상 농도는 수도권·강원영서·충북·충남은 ‘나쁨, 그 밖의 권역은 ‘보통 수준으로 예상된다.

대개 겨울철부터 봄철에 나타나는 초미세먼지 현상이 여름을 앞둔 5월 하순에 나타나는 것은 드문 일이다.

환경부는 전날부터 유입된 미세먼지에 대기정체가 더해져 오전과 밤에 서쪽 지역과 남부 일부 지역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 이슈팀@mkculture.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