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현대차, 북미·중남미 시장 강화 ‘멕시코 공장’ 가동
입력 2016-05-16 17:01 
기아차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되는 준중형 세단 K3(현지명 포르테)

기아자동차가 중남미 1위 자동차 생산국 멕시코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기아차는 멕시코 공장을 발판으로 북미·중남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기아차는 16일 멕시코 누에보레온주 뻬스께리아시에 위치한 기아차 멕시코 공장에서 준중형 세단 K3(현지명 포르테)의 생산을 예정대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2014년 10월 착공한 지 1년7개월만이다.
기아차 멕시코 공장에서는 K3를 우선 생산하고, 향후 추가 차종 투입을 검토할 예정이다. 양산 첫 해인 올해 10만여대가 생산될 전망이며, 추후 30만대까지 생산량이 늘어난다.
연간 생산량 30만대 규모 멕시코 공장 완공으로 기아차는 국내 163만대, 해외(중국 포함) 186만대 등 총 349만대의 글로벌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됐다.

멕시코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중남미를 포함한 전 세계 50여개국과의 FTA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닛산, GM, 폭스바겐, 크라이슬러 등 상당수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이 앞다퉈 멕시코 현지에 생산 시설을 확보하고 있다.
기아차 역시 이번 멕시코 공장 양산을 기점으로 북미와 중남미 다수 국가들에 무관세 판매가 가능해졌다. 이들 국가에서 판매량을 대폭 늘리겠다는 게 기아차의 계획이다
멕시코 공장은 미국, 중국, 슬로바키아에 이은 기아차의 4번째 해외 생산거점이다. 착공 후 양산까지 10억달러(약 1조12백억원) 가량이 투입됐으며, 335만㎡(약 101만평) 부지에 프레스공장, 차체공장, 도장공장, 의장공장 등을 모두 갖췄다.
또 완성차 생산라인과 인접한 165만㎡(약 50만평) 규모 부지에 협력사들이 위치하고 있어 생산라인 집적에 따른 시너지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멕시코는 작년 한 해 동안 전년(336만8010대) 대비 5.9% 증가한 356만5469대를 생산했다. 생산증가율은 세계 10대 자동차 생산국 가운데 스페인(13.7%), 인도(6.4%)에 이어 3위다. 또한 지난 해 기준으로 중남미 국가 중 1위, 전 세계 7위 자동차 생산국이다. 산업수요도 지난해 135만대를 웃돌아 중남미에서 브라질(257만대) 다음으로 큰 규모를 유지했다.
기아차는 멕시코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7월 본격 현지 판매를 시작한 후 작년 연말까지 6개월만에 1만1021대를 판매하며 전체 시장점유율 0.8%로 순조롭게 시장에 안착했다.
올해는 매달 3000대를 웃도는 실적을 보이며 지난 4월까지 총 1만3670대가 판매됐다. 그 결과 시장점유율이 2.9%로 상승하며 판매순위는 8위로 뛰어올랐다. 이달 멕시코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판매량은 더욱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아차 멕시코 공장은 국내 자동차 산업 및 연관 산업 발전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완성차 부품을 현지에서도 다수 조달하지만, 프레스, 용접 로봇, 운반 및 검사 장비 등은 국내 수출로 충당했기 때문이다. 국내 부품의 현지 공장 수출도 이뤄질 예정이다.
문제가 됐던 멕시코 누에보레온주 정부와의 세금감면 등 ‘인센티브 협의는 아직 진행중인 상태로 결론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기아차 측은 인센티브는 경영상 문제로 생산·판매와는 별개다”라며 중앙정부에서도 협상을 지원해주고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한다”라고 말했다.
[박창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