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단지 뉴스테이 행복주택 러시
입력 2016-05-12 17:14 
박근혜정부에서 중점 추진하는 뉴스테이·행복주택 사업이 당초 우려와 달리 중산층과 젊은층에 인기를 끌면서 매머드급 단지 조성 계획이 잇따르고 있다. 지금까지 확보한 땅을 기준으로 5000가구가 넘는 '미니 신도시급' 뉴스테이·행복주택도 3곳이나 된다.
정부의 임대주택 정책이 뉴스테이·행복주택에 지나치게 경도됐다는 비판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르면 2019년부터 수도권 등에 1000가구 넘는 대단지 뉴스테이·행복주택 입주가 줄을 이을 전망이다.
우선 중산층을 겨냥한 뉴스테이는 주로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지역에 설정된 공급촉진지구에 대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이 중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지난달 2차 공급촉진지구로 지정된 남양주진건 뉴스테이다. 국토부는 그린벨트를 풀어 90만6000㎡ 땅에 뉴스테이 57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입주는 2021년 6월로 예정됐다.
1차 공급촉진지구로 선정된 과천주암 뉴스테이도 5200가구 초대형 규모로 조성될 전망이다. 이곳은 서울 서초구 바로 옆에 붙어 있고 지하철 4호선 선바위역이 가까워 강남권 직장인 수요가 몰릴 것으로 보인다.
김포고촌지구(2900가구)와 의왕초평지구(2400가구)도 대표적인 대형 뉴스테이 단지로 시장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행복주택 대단지는 주로 수도권 택지지구에 집중되는 모습이다. 가장 큰 규모는 일산 호수공원 옆 고양장항지구 행복주택으로 5500가구에 이른다. 이 단지는 잠실 재건축 단지들과 맞먹는 초대형 행복주택 타운이 될 전망이다.
의왕고천(2200가구), 인천검단(1952가구), 하남미사(1738가구), 파주운정(1700가구) 등도 택지지구 땅을 이용한 대단지 행복주택으로 꼽힌다.
하지만 그린벨트를 풀거나 택지지구를 활용한 대단지 뉴스테이·행복주택 공급에 대해서는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2017년까지 15만가구씩 30만가구를 확보해야 한다는 실적 채우기에 급급해 도심보다 수도권 외곽에 대단지로 조성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도심에 빈 땅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린벨트나 택지지구 활용을 무턱대고 비판하기 어렵다"면서도 "입지가 좋은 공공기관 이전 용지 등에는 뉴스테이보다 행복주택을 공급하는 게 바람직한 주거복지 정책 방향"이라고 말했다.
[문지웅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