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中 석학의 분석 "北 핵포기 거부하면 中도 美 정밀타격 용인"
입력 2016-05-08 16:59 

중국의 설득에도 북한이 끝내 핵무기를 고집한다면 중국으로선 미국이 (군사적으로) 해결하도록 맡겨둘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북한 김정은정권이 7차 노동당대회를 통해 핵보유국 지위와 장거리미사일 개발 의지를 재차 강조한 가운데 중국 주류학계에서 북핵문제의 군사적 해결 불가피성이 처음 제기됐다. 자칭궈(60) 베이징대학 국제관계학원장은 8일 매일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북한이 핵탄두를 소형화하고 장거리 미사일 기술을 완성할 경우 미국은 북한을 타격할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은 이런 상황을 심각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자원장은 이어 미국이 북한을 타격하는 단계서 중요한 것은 중국과의 소통”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미국과 북한 양측이 상황을 오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정밀타격이 한반도 전면전과 같은 방식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려면 중국의 중재역할이 필수라는 의미다. 이와 관련해 자원장은 미국이 북한을 타격하기 전에 중국에 사전통보를 한다면 중국은 북한을 마지막으로 설득해 중대결정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5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데 대해 자 원장은 현재 유엔제재는 북한에 다소 숨통을 터주고 있지만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제재를 더욱 엄격히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서 나아가 그는 한미중 3국이 따로 회담을 여는 방안도 제시했다. 자원장은 북한이 추가로 핵실험을 하면 중국과 미국 한국이 3자회담을 개최할 수 있다”며 북한의 정치적 동란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미 일각에서 제기되는 김정은정권 교체, 즉 레짐체인지에 대해 자원장은 북한의 국가안보와 김정은 정권안보를 분리하기 힘들다”며 김정은 정권에 문제가 생길 경우 한반도에 전쟁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정은이 이번 노동당대회를 통해 북한내 권력기반 확립을 과시했지만, 최대 우방인 중국은 아직 그를 공식 초청하지 않고있다. 이에 대해 자원장은 김정은이 핵포기를 선언하거나 6자회담 참여와 과거 합의조치 이행 의지를 밝히는 정도의 조건이 만족돼야 중국정부가 초청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분명한 사실은 중국 지도부가 북한에 대해 실망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정부에 대해서도 ‘인내심을 충고했다. 자원장은 현재 북핵위기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면서 김정은도 핵무기를 포기할 경우와 핵무기를 고집할 경우의 손익계산을 하는데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 박만원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