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악성 림프종 생존율 예측 새모델 개발
입력 2016-04-21 10:36 

림프절 외 NK/T세포 림프종(Natural Killer/T cell lymphoma) 환자의 예후를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척도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새롭게 개발됐다. 기존 척도는 과거 항암화학요법이 별다른 치료효과를 거두지 못할 때를 기준으로 만든 것이어서 최근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생존율 및 병의 진행 예측 정도에 따라 환자 치료계획도 달라지는데, 지금은 새로운 치료법이 등장하면서 생존율을 끌어올리고 병의 진행속도를 더디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원석·김석진 교수 연구팀은 지난 1997년부터 2013년사이 11개국 38개 병원에서 림프절 외 NK/T세포 림프종을 치료받은 환자 527명을 분석한 결과 생존율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특정지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척도는 ‘핑크(the Prognostic Index for Natural Killer cell lymphoma, PINK)로 이름 붙여졌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76.1개월로 환자 중 36%(187명)는 병의 진행이 멈추지 않거나 재발했으며, 42%(220명)는 결국 숨을 거뒀다. 이들 환자의 생존율은 우선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됐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암의 진행 상태를 기준으로 3~4기에 해당하는 환자는 1~2기에 비해 사망 위험이 2.56배 더 높았다.
나이 역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였다. 60세를 초과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사망 위험이 2.16배나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 기존 척도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예후인자 3개도 확인됐다. 향후 환자 치료에 있어 상당 부분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비강, 비인두, 부비동 등 코 주변부에 주로 발생하는 NK/T세포 림프종의 특성과 달리 다른 부위에서 발병할 경우 사망 위험이 1.93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림프절 원격전이가 동반되는 경우에도 상대적 위험도가 1.69배 늘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발병의 중요한 원인 인자이면서도 주요 예후 예측 모델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바이러스)의 혈액 내 검출 여부가 포함된 점이 특이점이며 진단시 혈액내 검출 유무에 따른 유의한 생존율의 차이가 확인됐다.
EB바이러스를 보유한 환자 328명을 따로 추려 핑크-E(PINK-E) 모델을 만든 뒤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바이러스가 있으면 사망위험이 1.67배 더 높았다. 또한 핑크모델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요소로 인하여 사망 위험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위험요소에 얼마나 노출됐는지에 따라 환자를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 등 3가지 유형으로 새롭게 제시했다. 3년 생존을 기준으로 핑크 모델에서는 위험요소가 하나도 없는 저위험군의 생존율이 8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위험요소 1개를 가진 중위험군이 62%로 뒤를 이었다.
2개 이상 해당되는 고위험군은 25%에 불과해 큰 차이를 보였다. 핑크-E 모델에서도 위험요소가 많을수록 생존율이 낮아졌다.
김원석 교수는 환자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를 확인함에 따라 이를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됐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환자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랜싯 온콜로지(Lancet Oncology·IF: 24.69)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