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당선, 고지가 보이는데···후원금은 실탄 `치열한 모금전쟁`
입력 2016-04-01 14:26 

선거 때면 한푼이 아쉬운데 다들 ‘당선되면 해준다고만 하더라고요. 선거비 보전만 믿고 사비 털고 주변에서 긁어모았죠.”
호남 지역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한 후보측의 푸념이다. 그는 보통 후보를 도와주던 직능단체 관계자 분들이나 지역에서 개인들이 많이 후원을 해준다”라며 그런데 지금은 총선에 표 달라고 하기도 바쁜데, 돈 달라고 할 수 없어 없는 살림으로 선거활동에 나서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지지 호소 메시지 보내고 유세차량 동원도 해야되서 선거비를 잘 배분해야 한다”며 홍보 문자에 집중하다보니 유세차량을 2대에서 1대로 줄였다”고 털어놨다.
이처럼 국회의원 후보 측의 지출 용처가 한둘이 아니다보니, 후원금을 확보하는 것은 선거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실탄 확보가 승리의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선거사무소 회계담당의 책임감은 더욱 무거울 수 밖에 없다. 후원금 모금 방식은 십시일반 주변에서 끌어모으는 기본적인 방법이 대다수지만 최근엔 신개념 크라우드펀딩을 접목하는 방법도 등장했다.
그나마 현역 국회의원 출마자들은 정치 신인보다 형편이 조금 낫다. 보통 정치인의 후원금은 연간 1억5000만원까지 모집이 가능하다. 다만 현역 의원은 정치자금법에 따라 3억원까지 모집이 가능하다. 총선, 대선, 지방선거 등 전국 선거가 있는 해에는 평상시 의원 1인당 후원금 한도의 2배까지 모금할 수 있기 때문이다.서울지역에 출마한 한 출마자 측은 현역의 경우 선거 있는 해는 후원금 모금 한도가 2배 늘어날 뿐만 아니라 모금 속도도 빠른 편”이라며 그만큼 선거자금을 더 쓸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역 의원은 후원회가 이미 조직돼있다는 점도 메리트로 꼽힌다. 그래서 일찌감치 상한선까지 자금을 모은 후보가 있는 반면 모금이 여의치 않아 사비를 털거나 아예 모금자체를 포기한 후보도 있다. 실탄의 ‘부익부 빈익빈의 양상이 뚜렷한 셈이다. 현역 의원 측에선 그렇다고 마음껏 돈을 쓸 수는 없다”고 털어놓는다.

수도권에 출마하는 한 중진 의원 측은 지역마다 선관위에서 책정한 선거자금이 있기 때문에, 그 이상 쓰면 불법”이라며 지출한도가 평균 1억7800만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치신인보다 2000~3000만원 정도 여유로운 셈”이라고 말했다. 호남 지역에 출마한 한 출마자 측은 일반 지지자들이 대체로 후원해주시는 분들인데, 의원이 어떤 법안을 내면 그 법안에 관심있는 분들도 후원을 해준다”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현역은 아니지만 그와 비슷한 인지도가 있는 후보의 경우엔 십시일반 모금에 유리한 게 사실이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난 1월 중순에 후원금 모금을 마감했다. 후원회 개설 한 달여만에 현행 정치자금법상 모금한도인 1억5000만원을 모두 채웠다. 김 후보 측에 따르면 35일 간 총 365명이 후원했고, 전체 후원인의 3분의 2 가량인 240명이 10만원 이하의 개미군단이었다. 예비후보 기간동안 출마지역을 바꾼 곽상도 전 청와대 민정수석도 지난달 말 후원금 상한액을 모두 채웠다.
아울러 지난 19대 총선에서 처음 선보였던 크라우드펀딩도 선거자금 확보의 새로운 창구다. 2012년 크라우드펀딩의 총 규모는 약 528억원이었는데, 이 중 선거 관련 모금액은 454억원에 달했다.
[김명환 기자 / 안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