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조계종 총무원장 ‘염화미소’로 선출?
입력 2016-03-31 15:34  | 수정 2016-03-31 18:05
제1차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

조계종 행정의 최고 수반인 총무원장 선거 제도를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35대 총무원장 선거는 내년 10월 예정돼 있지만 새로운 선출 제도를 적용하려면 늦어도 올해 안에 법 개정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오는 6월 종회 통과를 목표로 조계종은 31일 서울 송파구 불광사에서 총무원장 선출제도를 주제로 대중공사를 열었다. 대중공사란 승가 공동체의 독특한 의사결정 회의로 로마 바티칸의 ‘공의회를 모델로 하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은 이날 어느 한 집단의 미래를 바꿔나가기 위해서는 사람, 재정, 조직이 변해야 한다”며 현실에 맞는 선거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자승 스님은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염화미소법이다. 정신적 지주인 종정이 종단에 개입하는 염려도 있지만 별개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종정)이 지목하면 정치적 개입이지만 이것은 선택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정 예하도 손끝에 누가 될 지 모른다”고 덧붙였다.
염화미소법은 석가모니 부처가 꽃을 꺾어 보였을 때 오직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이심전심으로 이해하고 미소지었다는 염화미소(拈華微笑)에서 비롯된 법안이다. 법맥을 잇는 불교만의 전통적인 방식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종단에서 선거인단 500여명이 최종 3인을 선정하면 종정이 지목이 아니라 추첨 형식으로 한 명을 최종 결정하는 구조다. 예측 불가능한 추첨을 통해 금권 선거와 비방·폭로전 등 폐해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하지만 소수 득표자가 당선될 경우 대표성에 문제가 생기고, 최종 3인에 대해 누가 누구인지 모르고 종정이 추첨하는 방식을 종도들이 받아들일 지도 관건이다.
현재 총무원장 선출 제도는 321명의 선거인단이 투표해 결정하는 간선제를 채택하고 있다. 1994년 종단 개혁의 산물로 민주화를 이뤘지만 금권선거와 과열 선거라는 부작용을 낳았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321명은 중앙종회의원 81명과 24개 교구본사를 대표하는 240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구본사 주지에 과도하게 힘이 실려 있다는 지적도 있다.
염화미소법과 함께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은 직선제 도입과 재가자 참여가 가능한 종단쇄신위원회 안이다. 직선제는 승려 1만2000여명 가운데 일정한 자격 제한을 줘 4000~5000명이 선거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이 또한 과열 선거 양상을 빚을 수 있다는 단점이 제기된다.
[이향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