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지난해 성행했던 '갭(Gap) 투자'가 다시 고개를 들었다. 29일 부동산114(www.r114.com)가 서울 지역 아파트 전세가율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서울 25개구 중 16개구가 올해 안에 전세가율 80%대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은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빠르게 상승하면서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이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5일 기준 전세가율은 성북구(83.1%) 동대문구(80.8%) 관악구(80.7%) 중랑구(80.1%) 동작구(80.0%)가 이미 80%를 돌파했고, 구로구(79.9%) 성동구(79.1%) 중구(78.8%) 강북구(78.7%)는 올 상반기 중 8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 마포구 도봉구 금천구 노원구 서대문구 광진구 강서구도 전세가율 80% 도달 가능성이 높다.
앞서 모건스탠리는 올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이 연말까지 8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세가격 상승으로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차이(갭)가 줄어들면서 이를 이용한 갭 투자가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갭 투자는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에서 급매물을 인수한 뒤 전세를 놓아 최소한의 금액을 이용해 시세차익을 노리는 방법이다.
지난해 전세가율이 높았던 성북구 길음동에서는 아파트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갭 투자 모임이 만들어지는 등 갭 투자가 성행했다.
일반적으로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은 집값 상승이 어렵다는 게 통설이지만 역설적으로 갭 투자 자본이 들어와 다시 시세를 끌어올린다는 논리가 투자자들 관심을 끌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전세금을 지렛대로 이용해 아파트 한 채에 자기자본 1억원 미만을 투자해 10채씩 구매하려는 투자자들도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올해 초 부동산 시장이 관망세로 접어들며 갭 투자에 대해 우려하는 전문가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단기 투기성 자금인 갭 투자 자금이 시장에 유입되면 주택가격이 하락할 때 '깡통전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함영진 부동산114 센터장은 "지난해에는 집값이 상승해 단기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었지만 올해는 상대적으로 주택 공급이 늘어 갭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며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의 세입자는 집값이 전셋값 밑으로 추락하는 깡통전세도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정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지역은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빠르게 상승하면서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이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5일 기준 전세가율은 성북구(83.1%) 동대문구(80.8%) 관악구(80.7%) 중랑구(80.1%) 동작구(80.0%)가 이미 80%를 돌파했고, 구로구(79.9%) 성동구(79.1%) 중구(78.8%) 강북구(78.7%)는 올 상반기 중 8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 마포구 도봉구 금천구 노원구 서대문구 광진구 강서구도 전세가율 80% 도달 가능성이 높다.
앞서 모건스탠리는 올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이 연말까지 8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세가격 상승으로 전세가격과 매매가격 차이(갭)가 줄어들면서 이를 이용한 갭 투자가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갭 투자는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에서 급매물을 인수한 뒤 전세를 놓아 최소한의 금액을 이용해 시세차익을 노리는 방법이다.
지난해 전세가율이 높았던 성북구 길음동에서는 아파트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갭 투자 모임이 만들어지는 등 갭 투자가 성행했다.
일반적으로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은 집값 상승이 어렵다는 게 통설이지만 역설적으로 갭 투자 자본이 들어와 다시 시세를 끌어올린다는 논리가 투자자들 관심을 끌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전세금을 지렛대로 이용해 아파트 한 채에 자기자본 1억원 미만을 투자해 10채씩 구매하려는 투자자들도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올해 초 부동산 시장이 관망세로 접어들며 갭 투자에 대해 우려하는 전문가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단기 투기성 자금인 갭 투자 자금이 시장에 유입되면 주택가격이 하락할 때 '깡통전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함영진 부동산114 센터장은 "지난해에는 집값이 상승해 단기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었지만 올해는 상대적으로 주택 공급이 늘어 갭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며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의 세입자는 집값이 전셋값 밑으로 추락하는 깡통전세도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정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