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임원인 50대 이 모씨는 지난해 말 투자 목적으로 보유했던 오피스텔을 팔아 작년 말 새로 생긴 헤지펀드에 2억원을 투자했다. 평소 거래하던 증권사 PB가 신설 헤지펀드의 성과가 좋다며 추천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글로벌 증시가 10% 이상 폭락했지만 이씨가 가입한 헤지펀드는 5%나 올랐다. 어려운 시장에서 한 달 새 수익 1000만원을 얻은 이씨는 주변 지인들에게 헤지펀드 투자를 조언하고 있다.
지난 3년간 중위험·중수익의 대표 상품으로 군림했던 주가연계증권(ELS)이 흔들리면서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지난해 10월 말 사모펀드 활성화를 목적으로 헤지펀드 설립 요건을 대폭 완화(자본금 60억원→20억원)한 뒤 투자자문사나 증권업계 고수들의 신규 헤지펀드 설립이 잇따르고 있다.
신생 헤지펀드들은 해외 주식, 메자닌(CB·BW), 공모주, 인프라 등 다양한 자산을 대상으로 롱숏 등 헤지 전략을 펼치면서 투자자를 유혹하고 있다. 기존 헤지펀드 상당수도 2011년 12월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 이후 4년 이상 쌓은 운용 노하우로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중위험·중수익 헤지펀드 시장을 놓고 '패기'와 '관록'의 한판 승부가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일 보고펀드자산운용과 페블스톤자산운용 두 곳이 전문사모펀드운용사로 등록했다. 보고펀드자산운용의 경우 원래 경영권 인수를 주목적으로 하는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인데 이번에 헤지펀드 시장에 처음 진출했다. 이로써 지난해 10월 25일 금융위가 자본시장법 시행령을 개정해 헤지펀드 운용사 설립 요건을 완화한 지 100일 만에 총 20곳의 새로운 헤지펀드 운용사가 탄생하게 됐다.
이날까지 신규 등록된 운용사 6곳이 총 9개 헤지펀드를 만들어 운용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2일 첫 펀드가 출시됐는데 한 달 열흘 만에 9개 펀드로 총 1075억원의 자금이 모였다. 기존 헤지펀드들은 보통 국내 주식 롱숏 비중이 70~80%에 달했지만 신생 헤지펀드들은 국내 롱숏 비중을 50%로 낮추고 해외 주식과 CB·BW와 같은 메자닌, 달러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활용해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을 펴고 있다.
올해 들어 한 달 동안 수익률만 놓고 보면 신생 헤지펀드 성과가 기존 펀드들을 앞선다. 신생 헤지펀드 4개의 연초 이후 지난 2일 기준 평균 수익률은 1.9%를 기록했다. 라임자산운용의 '모히토 헤지펀드'는 5.1%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그로쓰힐자산운용의 '다윈 멀티스트래티지 헤지펀드'도 출시 보름 만에 약 1%의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두 운용사는 모두 개인투자자들이 예상보다 빠르게 몰리면서 조만간 각각 3호와 2호 펀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기존 헤지펀드 33개는 올해 들어 지난 2일까지 평균 수익률 -0.6%를 기록했다. 1월 한 달 글로벌 주식시장의 조정 폭이 컸음을 감안하면 성과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신규 헤지펀드들에 비하면 다소 뒤진 것이다.
영국계 투자은행 바클레이스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글로벌 헤지펀드 수익률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설립된 지 2년 미만의 신생 헤지펀드 평균 수익률이 12.6%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3~4년차 중간 헤지펀드(8.6%)나 5년 이상 오래된 헤지펀드(8.5%)보다 4%포인트 이상 성과가 우수했다.
신생 헤지펀드 운용사 A대표는 "1호 펀드의 경우 모인 자금이 많지 않아 꼭 사고 싶은 중소형주를 얼마든지 살 수 있고 숏(공매도) 전략 활용도 쉽다"면서 "마케팅의 토대가 되니까 좀 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만 신규 헤지펀드 인가를 받은 곳 가운데 일부는 전략이나 운용 경험이 검증된 바 없어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중위험·중수익을 원하는 보수적 성향의 투자자라면 수익률은 다소 낮더라도 3년 이상 안정적인 성과가 검증된 펀드를 선택하는 것이 투자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조언이다.
[최재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 3년간 중위험·중수익의 대표 상품으로 군림했던 주가연계증권(ELS)이 흔들리면서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지난해 10월 말 사모펀드 활성화를 목적으로 헤지펀드 설립 요건을 대폭 완화(자본금 60억원→20억원)한 뒤 투자자문사나 증권업계 고수들의 신규 헤지펀드 설립이 잇따르고 있다.
신생 헤지펀드들은 해외 주식, 메자닌(CB·BW), 공모주, 인프라 등 다양한 자산을 대상으로 롱숏 등 헤지 전략을 펼치면서 투자자를 유혹하고 있다. 기존 헤지펀드 상당수도 2011년 12월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 이후 4년 이상 쌓은 운용 노하우로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중위험·중수익 헤지펀드 시장을 놓고 '패기'와 '관록'의 한판 승부가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일 보고펀드자산운용과 페블스톤자산운용 두 곳이 전문사모펀드운용사로 등록했다. 보고펀드자산운용의 경우 원래 경영권 인수를 주목적으로 하는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인데 이번에 헤지펀드 시장에 처음 진출했다. 이로써 지난해 10월 25일 금융위가 자본시장법 시행령을 개정해 헤지펀드 운용사 설립 요건을 완화한 지 100일 만에 총 20곳의 새로운 헤지펀드 운용사가 탄생하게 됐다.
이날까지 신규 등록된 운용사 6곳이 총 9개 헤지펀드를 만들어 운용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2일 첫 펀드가 출시됐는데 한 달 열흘 만에 9개 펀드로 총 1075억원의 자금이 모였다. 기존 헤지펀드들은 보통 국내 주식 롱숏 비중이 70~80%에 달했지만 신생 헤지펀드들은 국내 롱숏 비중을 50%로 낮추고 해외 주식과 CB·BW와 같은 메자닌, 달러 상장지수펀드(ETF) 등을 활용해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을 펴고 있다.
올해 들어 한 달 동안 수익률만 놓고 보면 신생 헤지펀드 성과가 기존 펀드들을 앞선다. 신생 헤지펀드 4개의 연초 이후 지난 2일 기준 평균 수익률은 1.9%를 기록했다. 라임자산운용의 '모히토 헤지펀드'는 5.1%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그로쓰힐자산운용의 '다윈 멀티스트래티지 헤지펀드'도 출시 보름 만에 약 1%의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두 운용사는 모두 개인투자자들이 예상보다 빠르게 몰리면서 조만간 각각 3호와 2호 펀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기존 헤지펀드 33개는 올해 들어 지난 2일까지 평균 수익률 -0.6%를 기록했다. 1월 한 달 글로벌 주식시장의 조정 폭이 컸음을 감안하면 성과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신규 헤지펀드들에 비하면 다소 뒤진 것이다.
영국계 투자은행 바클레이스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글로벌 헤지펀드 수익률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설립된 지 2년 미만의 신생 헤지펀드 평균 수익률이 12.6%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3~4년차 중간 헤지펀드(8.6%)나 5년 이상 오래된 헤지펀드(8.5%)보다 4%포인트 이상 성과가 우수했다.
신생 헤지펀드 운용사 A대표는 "1호 펀드의 경우 모인 자금이 많지 않아 꼭 사고 싶은 중소형주를 얼마든지 살 수 있고 숏(공매도) 전략 활용도 쉽다"면서 "마케팅의 토대가 되니까 좀 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만 신규 헤지펀드 인가를 받은 곳 가운데 일부는 전략이나 운용 경험이 검증된 바 없어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중위험·중수익을 원하는 보수적 성향의 투자자라면 수익률은 다소 낮더라도 3년 이상 안정적인 성과가 검증된 펀드를 선택하는 것이 투자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조언이다.
[최재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