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저체온증 응급처치, 겨울철 동사에 '유독 취약한 질병'있다…예방법은?
입력 2015-12-24 11:29 
저체온증 응급처치/사진=MBN
저체온증 응급처치, 겨울철 동사에 '유독 취약한 질병'있다…예방법은?


'저체온증 응급처치'와 함께 동사에 따른 주의가 요구됩니다.

동사는 이상저온에 의하여 적응능력의 한계를 넘는 자극에 의한 체온저하. 대사·호흡·순환기능이 장애되어 극단적인 경우는 회복이 불가능해져 죽음에 이르는 상태입니다.

피로나 공복상태에서 열을 발산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동사를 초래합니다. 또 음주상태에서는 열방출이 증가하고, 체온조절중추의 기능이 소실되기 때문에 동사에 빠지기 쉽습니다.

동사 여부는 추위의 강도보다 우리 몸의 체온조절시스템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체온조절시스템이 체온 저하를 막을 수 없다면 영상 10도의 기온에서도 동사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은 체온조절시스템이 잘 작동해 한파가 몰아쳐도 체온유지를 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른 노인이나 심혈관질환, 갑상선 질환, 뇌졸중 등을 앓는 사람들은 극한 상황에서 정상 체온을 유지하기 어려워 동사 발생할 가능성이 일반 사람보다 높습니다.

동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체온증을 조심해야 하는데 근력이 떨어진 노인들에게는 저체온증이 잘 옵니다. 근력이 떨어지면 그만큼 열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는 노인들도 근력을 잘 키우면 추운 날씨에도 체온 유지를 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충분한 단백질 섭취와 근력운동을 해야 합니다.

동맥경화증이나 고혈압을 앓는 사람이 동사를 예방하려면 외출할 때 보온에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혈관질환을 앓는 사람의 혈관은 이완과 수축을 통해 열을 내보내고 보호하는 기능을 잘 못 하기 때문입니다.

한파에 외출할 때는 장갑, 목도리, 모자를 꼭 착용해야 합니다.

체온은 머리나 목으로 많이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혈관질환을 앓는 사람은 실내에 있을 때도 일반인 기준(19~20℃)보다 높은 24~25℃가량으로 온도를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환자도 동사를 주의해야 합니다.

시상하부가 멀쩡해도 뇌의 운동 중추가 망가져 있으면 체온이 떨어져도 열을 내라는 명령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추위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체온 저하로 장애가 생겨 죽음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이런 환자들은 추위에 몸이 노출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