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형 히든챔피언, 중소기업 한정되어 문제”
입력 2015-12-23 17:10 

우리나라의 강소기업인 히든챔피언 매출액 기준이 지나치게 낮게 설정돼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3일 ‘독일 사례를 통해 본 히든챔피언 정책 및 제도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한국형 히든챔피언을 중소·중견기업에 국한시킨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세계적인 히든챔피언 규모 기준은 계열 관계, 지분구조, 자산규모 등에 관계없이 매출액 6조원 이하인 기업인 것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는 지적이다.
전세계 히든챔피언 평균 매출액은 약 4000억원 규모인데 지난해 한국형 히든챔피언으로 선정된 63개 기업의 평균매출액은 761억원에 불과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히든챔피언 개념을 정립한 헤르만 지몬(H.Simon) 교수는 세계시장점유율 1~3위(또는 소속 대륙 1위), 매출액 50억 유로(약 6 조원) 이하이면서 대중 인지도가 낮은 기업을 히든챔피언으로 보았다. 지몬 교수는 히든챔피언의 세계적 위치나 기업의 성장과정을 중시해, 히든챔피언의 매출액 기준을 중소기업 범위를 훨씬 뛰어넘는 수준으로 설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히든챔피언의 48%를 보유해 1위 국가인 독일에는 대기업도 많이 포함돼 있다.
히든챔피언인 독일 풍력발전 기업 에네르콘(Enercon), 자동차 케이블을 생산하는 레오니(Leoni)의 매출액은 각각 약 5조원, 4조원에 이르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라면 이들 기업이 육성 대상이 아닌 규제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히든챔피언에게 필요한 정책적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히든챔피언인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진입하게 되면 중단되거나 축소되는 지원제도가 세제분야 38개, 수출·판로분야 10개 등 총 80개에 이르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히든챔피언 육성정책이 기존 중소기업 지원정책에 머물러서는 안된다”며 중소ㆍ중견기업으로 한정된 히든챔피언 정책이 오히려 정부 지원책에만 안주하게 하는 이른바 피터팬 증후군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용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