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의 발달과 조기 암 검진의 증가로 암 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넘게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암 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한다는 것은 사실상 완치됐음을 뜻합니다.
2013년 기준으로 암 환자수는 지난 1999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으며, 암 발생률 역시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는 22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3년 암 발생률·생존율·유병률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2009~2013년 5년간 발생한 암 환자의 5년 생존율(비환자 대비 생존 환자의 비율)은 69.4%로 2001~2005년(53.8%)보다 15.6%포인트나 높아졌습니다. 10년 생존율도 1993~1995년 38.2%에서 2004~2008년 56.9%로 18.7%포인트 올라갔습니다.
5년 생존율이 가장 높은 암은 갑상선암으로 100.2%나 됐습니다. 갑상선암에 걸린 사람이 비환자보다 오히려 생존율이 높은 것입니다. 전립선암(92.5%), 유방암(91.5%)도 90%대를 기록했으며 대장암(75.6%), 위암(73.1%)도 상대적으로 5년 생존률이 높았습니다.
특히 위암의 5년 생존율(2009~2013년 기준)은 2001~2005년보다 15.4%포인트나 늘었습니다. 전립선암(12.3%p), 간암(11.2%p), 대장암(9.0%p)도 생존율 증가 폭이 큰편이었습니다.
반면 췌장암(9.4%)과 폐암(23.5%), 담낭 및 기타 담도 암(29.0%), 간암(31.4%)은 생존율이 낮은 편이었습니다.
2013년 새로 발생한 암 환자수는 22만5천343명으로, 전년의 22만6천216명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신규 암 환자수가 줄어든 것은 전국 단위의 암발생 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처음입니다. 증가세가 꺾이긴 했지만 신규 환자수는 10년 전인 2003년과 비교하면 79.3%나 많았습니다.
암 발생률(인구 10만명당 신규 암환자 수) 역시 311.6명으로 작년(322.3명)보다 11명 가량 줄었습니다. 암 발생률은 2000년 이후 증가 추세였지만 작년과 올해 2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암 발생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증가세는 여성이 더 컸습니다.
2013년 남성의 암 발생률은 328.1명으로 여성의 313.4명보다 높았지만, 과잉 진단 논란이 있는 갑상선암을 제외할 경우 1999년~2013년 연평균 증가율은 여성(1.9%)이 남성(0.7%)보다 높았습니다.
국가 간 비교를 위해 연령을 세계 표준 인구로 보정하면 한국의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5.7명이었습니다. 미국(318.0명), 호주(323.0명)보다는 낮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70.3명)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암 환자수와 암 발생률이 감소한 것은 암 검진을 통해 암이 조기 발견되는데다 남성 흡연율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에 예방 접종 시행, 생활 습관의 개선도 원인으로 보입니다.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18.9%)이었으며 위암(13.4%). 대장암(12.3%), 폐암(10.3%), 유방암(7.7%)이 뒤를 이었습니다.
남성은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순으로 발생이 많았으며, 여성은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으로 많이 발생했습니다.
1999년과 2013년 통계를 비교했더니 연평균 암 발생률은 갑상선암(21.2%), 전립선암(11.8%)이었습니다. 유방암은 5.6%, 대장암은 4.6%씩 매년 증가한 반면 자궁경부암과 간암은 각각 3.9%와 2.1%씩 감소했습니다.
복지부는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 발생이 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국가 건강검진의 자궁경부암 검진연령을 현행 30세 이상에서 20세 이상으로 앞당기고 간암 검진주기를 1년에서 6개월로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2013년 기준으로 암 환자수는 지난 1999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으며, 암 발생률 역시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는 22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3년 암 발생률·생존율·유병률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2009~2013년 5년간 발생한 암 환자의 5년 생존율(비환자 대비 생존 환자의 비율)은 69.4%로 2001~2005년(53.8%)보다 15.6%포인트나 높아졌습니다. 10년 생존율도 1993~1995년 38.2%에서 2004~2008년 56.9%로 18.7%포인트 올라갔습니다.
5년 생존율이 가장 높은 암은 갑상선암으로 100.2%나 됐습니다. 갑상선암에 걸린 사람이 비환자보다 오히려 생존율이 높은 것입니다. 전립선암(92.5%), 유방암(91.5%)도 90%대를 기록했으며 대장암(75.6%), 위암(73.1%)도 상대적으로 5년 생존률이 높았습니다.
특히 위암의 5년 생존율(2009~2013년 기준)은 2001~2005년보다 15.4%포인트나 늘었습니다. 전립선암(12.3%p), 간암(11.2%p), 대장암(9.0%p)도 생존율 증가 폭이 큰편이었습니다.
반면 췌장암(9.4%)과 폐암(23.5%), 담낭 및 기타 담도 암(29.0%), 간암(31.4%)은 생존율이 낮은 편이었습니다.
2013년 새로 발생한 암 환자수는 22만5천343명으로, 전년의 22만6천216명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신규 암 환자수가 줄어든 것은 전국 단위의 암발생 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 처음입니다. 증가세가 꺾이긴 했지만 신규 환자수는 10년 전인 2003년과 비교하면 79.3%나 많았습니다.
암 발생률(인구 10만명당 신규 암환자 수) 역시 311.6명으로 작년(322.3명)보다 11명 가량 줄었습니다. 암 발생률은 2000년 이후 증가 추세였지만 작년과 올해 2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암 발생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증가세는 여성이 더 컸습니다.
2013년 남성의 암 발생률은 328.1명으로 여성의 313.4명보다 높았지만, 과잉 진단 논란이 있는 갑상선암을 제외할 경우 1999년~2013년 연평균 증가율은 여성(1.9%)이 남성(0.7%)보다 높았습니다.
국가 간 비교를 위해 연령을 세계 표준 인구로 보정하면 한국의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5.7명이었습니다. 미국(318.0명), 호주(323.0명)보다는 낮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70.3명)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암 환자수와 암 발생률이 감소한 것은 암 검진을 통해 암이 조기 발견되는데다 남성 흡연율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에 예방 접종 시행, 생활 습관의 개선도 원인으로 보입니다.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18.9%)이었으며 위암(13.4%). 대장암(12.3%), 폐암(10.3%), 유방암(7.7%)이 뒤를 이었습니다.
남성은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순으로 발생이 많았으며, 여성은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으로 많이 발생했습니다.
1999년과 2013년 통계를 비교했더니 연평균 암 발생률은 갑상선암(21.2%), 전립선암(11.8%)이었습니다. 유방암은 5.6%, 대장암은 4.6%씩 매년 증가한 반면 자궁경부암과 간암은 각각 3.9%와 2.1%씩 감소했습니다.
복지부는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 발생이 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국가 건강검진의 자궁경부암 검진연령을 현행 30세 이상에서 20세 이상으로 앞당기고 간암 검진주기를 1년에서 6개월로 조정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