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M+기획…‘예능언어’③] 방송언어 규제, 시청자의 눈높이를 찾아라
입력 2015-12-22 14:17 
[MBN스타 유지혜 기자] 방송언어의 규제, 과연 문제가 없는 걸까. 급변하는 방송 환경에서 일정한 언어 규정은 과연 실효성이 있을까.

최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이하 방심위)의 규정을 위반한 사례가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지 않은 다소 강압적인 규제라는 비판이 일어 눈길을 끌었다.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이나 몇몇 라디오 프로그램, 코미디 프로그램들이 그 주인공이다. 일상생활에서는 자연스럽게 쓰는 단어들이 문제가 돼 심의위원회가 개최되면서 소모적인 규제라는 비판이 잇따랐다.

이에 지금의 방심위가 예능프로그램들의 언어를 규제하는 방식이 올바른 것인지에 많은 의문이 쏠렸다. 2014년 9월 발표된 ‘방송통신 콘텐츠 심의제도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지금의 방심위가 행하는 ‘수직적 규제는 급격히 달라진 방송 소비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통적 개념의 방송통신은 TV라는 한정된 매체를 통해 가족단위를 시청자로 규정했기 때문에 ‘수직적 규제가 유효했지만, VOD 시청 등 시청 플랫폼이 다양해진 현재에는 이 ‘수직적 규제가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소비 행태를 고려하지 않은 방심위의 규제는 ‘규제의 공백을 일으키기도 한다. 지상파 TV 프로그램의 규제는 촘촘하지만 아프리카TV, 웹 예능 등의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는 규제하기 어려운 현실인데, 이 상황에서 지상파 TV만을 지나치게 규제하는 것은 시대에 맞지 않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몇몇 방송 관계자는 이에 적극 동의하며 다양한 형태로 소비되는 콘텐츠 특성에 맞는 규제의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프로그램 장르의 특성에 맞게 규제를 적용한다면 제작진도 규정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만약 시정 조치가 내려졌을 때 더 빠른 해결책을 강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청자의 눈높이에서 벗어난 방심위 규제도 문제로 지적됐다. 방심위가 2014년 발행한 ‘방송언어에 대한 시청자 및 제작자 인식조사 연구에 따르면, 심의 제재 수준이 시청자와 사회적 공감대를 이루기는 쉽지 않다고 밝혔다. 일상생활에서 시청자가 사용하는 단어를 규제하는 방심위의 제제에 공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서 시청자들의 지지도가 높았다는 게 방심위의 설명이다. 실제 심의가 이뤄지고 있으며, 내용 개선이 시행됐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시청자에 노출시켜 언어 규제의 필요성을 인식히키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결론으로, 방심위는 지속적으로 언어 규제에 대한 보고서와 실태 보고서를 작성해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다.


규제와 웃음 사이에서 늘 고민하는 제작자들을 위해서는 좀 더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방송언어 가이드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예능, 교양 등 각국 소속은 일률적인 시스템이 아닌, 각자의 방식에 맞는 시스템으로 방송을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방송 분야를 총망라해 규정짓는 방송언어 가이드라인이 현실적으로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시대에 발 맞춰 심의규제를 재검토하고 세분화 시켜야 한다는 의견들도 많았지만, 그에 앞서 정확하게 제작자들에 심의에 대한 교육과 방송언어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눈에 띄었다. 현재 방송언어의 규제가 왜 필요하고, 대체할 수 있는 특정언어가 어떤 것이 있는지 적절한 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방심위와 시청자, 제작자가 건강한 언어를 위해 의견을 좁힐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무엇보다 시청자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언어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면서도 지나친 규제로 보이지 않는 방법을 찾기 위해 제작자와 방심위가 노력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 고무적인 일이다. 시청자의 눈높이에 서로가 조금만 더 양보한다면 ‘마리텔이 ‘심쿵 때문에 쩔쩔매야 할 일은 생기지 않을 것이다.

유지혜 기자 yjh0304@mkculture.com/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