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현존 최강 항생제도 듣지 않는 임균 국내 첫 발견
입력 2015-12-22 13:51 

현재 사용되는 어떠한 항생제에도 살아남는 ‘다제내성 임균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됐다. 임균은 일부 여성에게 자궁내막염과 난관염, 골반감염을 일으키고 불임 같은 심각한 합병증의 원인이 된다.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경원 교수팀은 가톨릭관동의대 진단검사의학과 이혁민 교수와 함께 2011~13년 우리나라 남녀 임질환자 210명(남성 136명, 여성 47명)으로부터 배양한 임균의 내성정도를 조사한 결과, 임균 19개가 현재 사용되는 치료항균제 가운데 가장 강력한 ‘세팔로스포린계열 에도 ‘다제내성 반응을 보였다고 22일 밝혔다. ‘대제내성 임균이라는 말은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임균이 죽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번에 배양된 임균의 세팔로스포린 계열 약물에 대한 내성 비율은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3%(7개), 세포독심(Cefpodoxime) 8%(17개), 세픽심(Cefixime) 9%(19개)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특히 내성 균주 19개중 4개는 지난 2011년 일본에서 보고된 고도 내성 균주와 유전형이 연관돼 있었다”면서 현재 임균 치료의 마지막 보루로 꼽히는 ‘세프트리악손 약물에 대해서도 내성을 갖는 임균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임균에 의한 임질은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3만 5000여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생식기질환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실제론 이보다 훨씬 많은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흔한 성병 중 하나인 임질은 발병 여성의 50% 정도와 일부 남성은 감염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남성의 경우, 배뇨시 따끔한 느낌이 있는 요도염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배뇨통과 함께 고름과 같은 농액이 요도를 통해 배출된다. 여성은 자궁경부염 형태로 발전해 농액 분비물이 보이고 배뇨통과 빈뇨 및 긴박뇨 증상이 일어난다. 대부분 성관계를 통해 임균에 전염되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와의 성접촉을 피하고 피임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번 연구는 내성균 관련 국제학술지(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최근호에 발표됐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