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대우증권·두산공작기계 매각 본입찰…21일 M&A 2건 `큰장`
입력 2015-12-20 17:08  | 수정 2015-12-20 19:53
올해 대미를 장식할 '조 단위' 대형 인수·합병(M&A) 딜 2건이 동시에 본입찰을 진행한다. 증권업계 1위 KDB대우증권과 두산인프라코어 공작기계사업부(가칭 두산공작기계)가 그 주인공이다. KDB대우증권은 증권업 판도를 뒤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두산공작기계는 최근 진행 중인 두산인프라코어 구조조정 작업 핵심이라는 점에서 본입찰 결과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21일 KDB대우증권 보유 지분 43%와 산은자산운용에 대한 패키지 매각 본입찰을 실시한다. 매각주간사는 크레디트스위스(CS), 삼일PwC회계법인이 맡았다. 같은 날 두산공작기계도 매각 본입찰을 실시한다. 두산공작기계 매각주간사는 CS가 맡았다. KDB대우증권 인수 유력 후보는 KB금융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등이다. KB금융은 은행금융지주사로 은행업에 집중된 지주사 역량을 증권업까지 확대하는 것을 꾀하고 있다. 대형 증권사인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업계 1위 KDB대우증권 인수를 통한 대형화로 한국형 IB를 꾀하고 있다. KDB대우증권 인수가로는 2조원대 초중반이 거론되고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산은이 KDB대우증권 매각 하한선인 예정가로 장부가를 조금 웃도는 수준을 책정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KDB대우증권 장부가는 1조7758억원이며 동반 매각되는 산은자산운용 장부가 634억원을 감안할 때 총 장부가는 1조8392억원이다. 장부가에 10% 경영권 프리미엄만 얹어도 예정가가 2조200억원에 달한다. 인수 후보들은 이를 감안해 입찰가 선정을 두고 고심하고 있으며 다른 인수 후보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두산공작기계는 MBK파트너스, 모건스탠리 PE, SC PE 등 사모투자펀드(PEF)를 비롯해 중국계·대만계 투자자가 인수 후보로 꼽히고 있다. 관전 포인트는 막판 인수 후보 간 합종연횡 여부다. 매각에 정통한 관계자는 "두산공작기계가 뛰어난 현금 창출 능력을 지닌 매력적인 매물이지만 매각 시한이 촉박해 의사결정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위험을 줄이기 위해 투자자 간 제휴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 사업 불황 등 여파로 최근 희망퇴직 등을 통해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두산공작기계 매각은 이러한 구조조정을 마무리 짓는 포석이다. 매각가는 1조원대 중후반이 유력하다.
[강두순 기자 / 한우람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