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선물 거래대상 코스피 개별주식 늘어난다
입력 2015-12-20 17:08 
금융위원회가 개별 주식 선물 종목 수를 늘리고 복수의 유동성공급자(LP)를 허용하기로 했다. 개별 주식과 현물 또는 지수선물 간 차익거래를 활성화시켜 자본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조치다.
20일 금융위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에게 직접보고(블루시트)된 금융업계 건의사항에 대한 주요 회신내용을 공개했다. 금융위는 우선 기초자산 선정 요건을 합리적 수준으로 완화해 개별 주식을 대상으로 한 선물거래 종목 수를 현재 89개에서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앞서 금융투자업계는 코스피200 지수선물과 개별 주식선물간 차익거래 활성화를 위해 개별 주식을 대상으로 한 선물거래 종목 수를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현재 선물거래 종목 수는 89개에 불과하다. 코스피200보다 한참 부족해 차익거래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가격 균형을 형성하지 못했다. 따라서 거래소는 파생상품업무규정 가운데 제22조인 기초자산 규정을 손볼 계획이다. 현재 기초자산 규정에는 유통주식 수가 1000만주 이상, 소액 투자자가 1만명 이상이면서 거래대금이 5000억원 이상이어야 선물거래 종목으로 선정될 수 있다고 돼 있다. 이 규정을 완화해 유통주식 수와 소액 투자자 기준을 낮추고 거래대금도 줄인다면 선물종목 수를 더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식선물 거래 활성화를 위해 복수 LP도 허용된다. 그동안 종목당 1개 증권사만 유동성 공급자로 참여하고 있어 충분히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금융투자업계는 2012년 우정사업본부에 대한 차익거래 과세 등 조치 이후 주식 현물·선물 차익거래 시장이 크게 위축됐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실제 차익거래 규모는 2011년 114조원에서 지난해 9조4000억원, 10분의 1 미만 수준으로 줄었다.
이 밖에 종이 문서에 대한 정보 파기 의무도 완화된다. 금융위는 금융회사 애로사항을 반영해 종이 문서에 대해서는 별도로 분리 보관·폐기 방법을 마련해 감독규정에 반영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8월 말부터 실시된 블루시트 제도를 통해서는 은행과 금융투자, 신용정보 등 분야에서 건의사항을 총 4건 접수했다. 블루시트는 금융당국의 현장점검 시 금융회사가 선택과 집중을 하지 않고 건의하는 단점을 보완하고, 소통을 확대하는 취지에서 시행됐다.
[최재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