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여야 쟁점법안·선거구 획정 담판…새누리, 전략공천 충돌
입력 2015-12-20 08:40  | 수정 2015-12-20 11:00
【 앵커멘트 】
여야 지도부가 오늘(20일) 오후 3시, 선거구 획정과 쟁점법안 처리를 위한 담판 회동을 벌입니다.
지금까지 수차례 회동에도 여야의 입장은 평행선을 달렸는데요.
오늘은 어떨까요, 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원중희 기자! 어떻습니까, 성과가 있을까요?


【 기자 】
네, 일단 쉽지는 않아보입니다.

선거구 획정 같은 경우 현행 지역구 의석을 246석에서 253석으로 늘리는 데는 여야가 공감대를 이뤘지만,

47석의 비례대표를 어떤 방식으로 뽑을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구 의석수와 정당득표율에 연동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고, 새누리당은 이를 반대하고 있어서 난항이 예상됩니다.

쟁점법안도 마찬가지입니다.


새누리당은 노동개혁 5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원샷법 등 경제법안을 연내에 반드시 처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새정치연합은 노동5법 가운데 기간제법과 파견근로자법은 비정규직을 늘리는 법안이다, 또 경제법안은 재벌 특혜법이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는데요.

여야 회동 전 비공개 당정청 회동이 있을 예정인데, 여기서 어느 정도 타협이 이뤄질지가 관건입니다.

【 앵커멘트 】
그렇군요. 그런가하면 공천 룰을 둘러싸고 새누리당 내부의 신경전도 점차 거세지고 있죠.
김무성 대표와 친박계가 맞서고 있다고요.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김무성 대표는 어제 부산 금정산에서 열린 기념 대회에서 전략공천은 없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내년 총선에서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는 상향식 공천을 반드시 이루겠다고 말했는데요.

전략공천인 우선추천제를 실시해서 경쟁력 있는 후보를 내세우자는 친박계의 주장을 다시 한번 반박한 겁니다.

이처럼 공천룰을 둘러싼 친박과 비박간의 신경전이 이어지면서, 총선 날짜가 다가올수록 긴장감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MBN뉴스 원중희입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