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제로금리 시대 마감…美 9년 만에 기준금리 0.25%~0.50% 인상↑
입력 2015-12-17 09:16  | 수정 2015-12-18 09:06
제로금리 시대 마감/사진=연합뉴스
제로금리 시대 마감…美 9년 만에 기준금리 0.25%~0.50% 인상↑


미국이 마침내 금리인상을 단행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7년 동안 유지했던 '제로 금리' 시대가 막을 내렸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워싱턴D.C. 본부에서 진행된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현재의 0.00%∼0.25%에서 0.25%∼0.50%로 0.25% 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16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습니다.

2006년 6월 이후 9년 6개월만의 첫 기준금리 인상입니다.

연준은 성명에서 "올해 고용 여건이 상당히 개선됐고 물가가 중기목표치인 2%로 오를 것이라는 상당한 확신이 있다"며 금리인상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또 "이번 인상 후에도 통화정책의 입장은 시장 순응적으로 남을 것"이라며 향후 경제상황에 연동된 '점진적' 금리 인상 방침을 시사했습니다.

이처럼 연준이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를 떠받치기 위해 취했던 조처인 '비정상적' 제로금리 시대의 종언을 공식 선언함에 따라 글로벌 경제는 유동성이 매우 커진 '시계제로' 상황에 처했습니다.

세계 최대 경제의 긴축에 따른 글로벌 저성장과 신흥시장에서의 급격한 달러유출 등에 따른 충격이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1천1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의 부담 등에 눌려 경기회복이 더딘 한국경제도 수출이 타격을 받거나 금리인상의 선택에 내몰리는 등 제한적이나마 부담을 안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하지만 연준의 이번 조치는 사실상의 완전고용(실업률 5%)에 더해 중기 목표치인 2%에는 못미치지만 물가의 상승기조 등 견고한 경제상황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미국 경기회복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는 평가도 제기됩니다.

또 금리인상의 충격이 이미 선반영된 가운데 글로벌 경제의 큰 불확실성이 해소됨에 따라 국제 금융시장은 조속히 안정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따라서 이제 시장의 관심은 연준이 향후 기준금리를 어느 정도의 속도로 인상해 통화정책을 정상궤도로 올려놓을지에 쏠리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과거 금리인상 패턴과는 달리 정상화의 기조가 대체로 점진적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내년 한해는 서너차례에 걸쳐 0.75%∼1.00%포인트 가량 금리가 인상되는데 이어 물가상승 추이에 연동해 2017년 말과 2018년 말 각각 2.50%, 3.50% 안팎에서 금리 수준이 결정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 관측입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