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제주2공항 운영권 제주도-한국공항공사 ‘때이른 신경전’
입력 2015-12-09 11:38  | 수정 2015-12-09 14:30
제주 제2공항 위치도

국토교통부의 제주 제2공항 건설 사업이 지난 8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된 가운데 벌써부터 공항 운영권을 놓고 제주도와 한국공항공사의 물밑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공항운영 방식은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KDI 수행)에서 사업성이 확인된 뒤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다뤄야할 문제지만 사전 작업이 물밑에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제주도는 내년에 제2공항 주변개발구상 용역(1억9000만 원)을 발주하면서 공항 운영 가능성도 함께 짚을 예정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공항 주변 개발과 운영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가 기본계획 등을 수립할 때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기관의견을 내겠다는 뜻이다.

제주도가 공항 운영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공항 운영과 공항 주변 개발 권한을 함께 가질 경우 제주도 환경에 최적화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인천공항을 운영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동북아 허브 공항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영종도 공항 배후에 복합 에어시티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
하지만 현 제주공항을 운영·관리하고 있는 한국공항공사는 공항 건설·관리·운영, 항공산업 육성·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공기업인 만큼 한국공항공사법에 따라 공사가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나아가 한국공항공사는 제주 제2공항 사업비 4조1000억 원 가운데 1조 원 가량을 부담하는 방안을 국토부와 협의하고 있다. 국토부가 내년 착공할 울릉공항(5805억원·2021년 개항)과 흑산공항(1835억원·2020년 개항) 사업비의 20~25%를 한국공항공사가 부담하는 방안이 조만간 항공교통심의위원회를 통과할 예정이어서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높다.
일단 국토부는 한국공항공사에 마음이 기운 것으로 파악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항운영은 정부가 하도록 돼 있고 항공기 이착륙 등 고도의 노하우가 필요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지자체의 공항운영 요구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제3의 공항공사 설립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혀 사업비를 나눠 부담하겠다고 나선 한국공항공사에 힘을 보탤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
국토부가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에 건립 예정인 제주 제2공항은 2025년 이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주도는 현 제주공항이 2020년 포화될 것으로 예상해 2023년 개항을 희망하고 있지만 제2공항 부지 주민들의 반대가 거세지고 있어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현 제주공항 국내선 여객터미널 용량은 연간 2326만명, 국제선은 263만명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나 지난해 국내선 2094만명, 국제선 226만명이 이용하면서 90%를 육박했다. 국토부가 5년 단위로 예측하고 있는 2015년 수요예측(국내선 2084만명, 국제선 225만명)도 지난해 이미 달성한 상태다. 이 추세라면 제주공항 처리용량을 넘어서는 2020년 예측치(국내선 2795만명•국제선 416만명)도 이전 달성이 유력해 공항시설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