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눈에는 중국의 국가경쟁력 순위가 서방국가들이 집계한 순위만큼 낮지 않았다. 중국이 처음으로 독자 집계한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중국은 19위에 랭크됐고 한국도 덩달아 17위에 올랐습니다.
7일 중국 사회과학망에 따르면 최근 화동정법(華東政法)대학과 상하이 정치학회가 공동 발표한 '국가경쟁력지수 2015년 보고서'는 전 세계 111개 주요 국가 가운데 싱가포르를 1위로 올렸습니다.
이어 독일, 네덜란드, 호주, 미국,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아랍에미리트(UAE), 프랑스가 10위권에 포진했습니다.
뉴질랜드, 룩셈부르크, 영국, 이탈리아, 벨기에, 아이슬란드 다음에는 한국과 일본, 중국이 각각 17∼19위로 20위인 스위스를 제쳤습니다.
기존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나 세계경제포럼(WEF)이 평가하는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상위권에 미국과 서유럽 선진국 일색이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집계 결과입니다.
올해 5월에 발표된 IMD 국가경쟁력 순위는 미국, 홍콩, 싱가포르, 스위스, 캐나다,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독일에 이어 중국을 22위, 한국을 25위, 일본을 27위로 평가했습니다.
지난 9월 WEF 평가에서도 스위스, 싱가포르, 미국, 독일, 네덜란드, 일본, 홍콩, 핀란드, 스웨덴, 영국에 이어 한국은 26위, 중국은 28위에 랭크됐습니다.
이번 중국의 독자적인 국가경쟁력 순위 집계는 기존 평가가 지나치게 서방국가에 편중돼 중국과 아시아지역 국가를 낮춰보는데 대한 불편한 시각이 깔려있습니다.
가오치치(高奇琦) 화동정법대 정치학연구원 원장은 상하이에서 열린 보고서 발표회에서 "서구세계가 국가경쟁력 측정의 발언권을 독점하면서 중국 개혁·개방 30여년의 성과가 항상 낮게 평가받고 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서구 중심의 평가는 정확성과 진실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보의 세계화 시대에 중국이 국가관리를 통해 얻은 성취를 정확하게 해석, 검증하고 전파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이에 따라 이번 국가경쟁력지수의 지표체계 설정 및 연구개발, 통계수치 근거의 정확성 등에 심혈을 기울임으로써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려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초성, 가치성, 지속가능성 등 3개 핵심지표를 중심으로 기초성 지표는 인프라 시설, 사회질서, 공공서비스 영역을, 가치성 지표는 투명성, 평등성, 공정성 분야를, 지속가능성은 효율성, 환경보호, 혁신성 부문을 평가했습니다.
가오 원장은 "기초성 지표에서 중국은 111개 국가중 24위에 올라있다"며 "이번 평가를 통해 서방국가들이 중국의 국가경쟁력에 대해 갖고 있는 편견을 바로잡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7일 중국 사회과학망에 따르면 최근 화동정법(華東政法)대학과 상하이 정치학회가 공동 발표한 '국가경쟁력지수 2015년 보고서'는 전 세계 111개 주요 국가 가운데 싱가포르를 1위로 올렸습니다.
이어 독일, 네덜란드, 호주, 미국,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아랍에미리트(UAE), 프랑스가 10위권에 포진했습니다.
뉴질랜드, 룩셈부르크, 영국, 이탈리아, 벨기에, 아이슬란드 다음에는 한국과 일본, 중국이 각각 17∼19위로 20위인 스위스를 제쳤습니다.
기존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나 세계경제포럼(WEF)이 평가하는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상위권에 미국과 서유럽 선진국 일색이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집계 결과입니다.
올해 5월에 발표된 IMD 국가경쟁력 순위는 미국, 홍콩, 싱가포르, 스위스, 캐나다,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독일에 이어 중국을 22위, 한국을 25위, 일본을 27위로 평가했습니다.
지난 9월 WEF 평가에서도 스위스, 싱가포르, 미국, 독일, 네덜란드, 일본, 홍콩, 핀란드, 스웨덴, 영국에 이어 한국은 26위, 중국은 28위에 랭크됐습니다.
이번 중국의 독자적인 국가경쟁력 순위 집계는 기존 평가가 지나치게 서방국가에 편중돼 중국과 아시아지역 국가를 낮춰보는데 대한 불편한 시각이 깔려있습니다.
가오치치(高奇琦) 화동정법대 정치학연구원 원장은 상하이에서 열린 보고서 발표회에서 "서구세계가 국가경쟁력 측정의 발언권을 독점하면서 중국 개혁·개방 30여년의 성과가 항상 낮게 평가받고 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서구 중심의 평가는 정확성과 진실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보의 세계화 시대에 중국이 국가관리를 통해 얻은 성취를 정확하게 해석, 검증하고 전파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이에 따라 이번 국가경쟁력지수의 지표체계 설정 및 연구개발, 통계수치 근거의 정확성 등에 심혈을 기울임으로써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려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초성, 가치성, 지속가능성 등 3개 핵심지표를 중심으로 기초성 지표는 인프라 시설, 사회질서, 공공서비스 영역을, 가치성 지표는 투명성, 평등성, 공정성 분야를, 지속가능성은 효율성, 환경보호, 혁신성 부문을 평가했습니다.
가오 원장은 "기초성 지표에서 중국은 111개 국가중 24위에 올라있다"며 "이번 평가를 통해 서방국가들이 중국의 국가경쟁력에 대해 갖고 있는 편견을 바로잡고 싶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