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소비자물가, 1.0% ↑...1년 만에 1%대 '물가 상승 요인 보니?'
국제유가 하락세 둔화 영향
올 들어 내내 0%대에 머무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만에 1%대로 올라섰습니다.
지난해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저유가 효과'가 약해진 영향입니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0% 올랐습니다.
지난해 11월(1.0%) 이후 12개월 만의 1%대 상승이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2월(0.8%) 이후 11개월째 0%대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를 부른 바 있습니다.
그간 0%대 물가의 주된 요인은 국제유가의 하락세였습니다.
지난해 3분기까지 배럴당 100달러대(두바이유 기준)를 유지하던 국제유가는 같은 해 12월 평균 60달러로 떨어졌고, 올해는 40달러대를 넘나들며 소비자물가를 끌어내렸습니다.
그러나 저유가가 불러온 기저효과(기준 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과장돼 보이는 현상)가 점차 소멸되면서 올해 4분기부터는 소비자물가가 1%대를 회복할 것이란 전망이 많았습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통계과장은 "국제유가 하락폭이 둔화된 것이 11월 물가 상승폭 확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공공요금, 전세 등 서비스부문 물가가 2.2% 상승한 점도 11월 전체 물가를 1.23%포인트 끌어올렸습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4% 상승해 11개월 연속 2%대를 나타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2.7% 상승한 가운데, 이는 2011년 12월(2.7%) 이후 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입니다.
생활물가는 0.1%의 낮은 상승률을 보였지만 채소, 과일, 어류 등 신선식품 물가는 3.0% 올랐습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아도 장을 보는 소비자들은 이를 피부로 느끼기 어려운 이유입니다.
품목별로 상승률을 보면 농축수산물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 상승했습니다.
양파값이 98.9% 급등했으며, 파(42.7%), 마늘(35.0%), 국산 쇠고기(11.9%) 값도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공업제품 물가는 올해 2월부터 9개월 연속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이다가 10개월 만에 보합세(0.0%)가 됐습니다.
내수 회복세가 확대되면서 내구재(2.0%) 가격도 상승하고 겨울이 다가와 여자외투(2.5%) 등 의류가격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휘발유(-14.9%), 경유(-19.5%), 자동차용 LPG(-22.7%) 값은 내렸지만, 전월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습니다.
전기·수도·가스는 7.1% 하락, 서비스물가에 포함된 집세는 2.2% 올랐으며, 전세가 4.0%, 월세는 0.2% 각각 올랐습니다.
공공서비스 가격은 2.0% 상승, 시내버스(9.0%), 전철(15.2%), 하수도요금(14.4%)이 오른 영향을 받았습니다.
부동산중개수수료(-2.6%)는 하락했습니다.
개인서비스 가격도 2.1% 상승했으며, 공동주택관리비(4.2%), 구내식당식사비(5.8%), 중학생 학원비(2.9%), 학교급식비(10.1%) 또한 상승했습니다.
한편 김재훈 기획재정부 물가동향과장은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국제유가 하락과 관련한 기저효과와 내수 회복세가 이어져 상승 압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국제유가 하락세 둔화 영향
올 들어 내내 0%대에 머무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만에 1%대로 올라섰습니다.
지난해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저유가 효과'가 약해진 영향입니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0% 올랐습니다.
지난해 11월(1.0%) 이후 12개월 만의 1%대 상승이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2월(0.8%) 이후 11개월째 0%대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를 부른 바 있습니다.
그간 0%대 물가의 주된 요인은 국제유가의 하락세였습니다.
지난해 3분기까지 배럴당 100달러대(두바이유 기준)를 유지하던 국제유가는 같은 해 12월 평균 60달러로 떨어졌고, 올해는 40달러대를 넘나들며 소비자물가를 끌어내렸습니다.
그러나 저유가가 불러온 기저효과(기준 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과장돼 보이는 현상)가 점차 소멸되면서 올해 4분기부터는 소비자물가가 1%대를 회복할 것이란 전망이 많았습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통계과장은 "국제유가 하락폭이 둔화된 것이 11월 물가 상승폭 확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공공요금, 전세 등 서비스부문 물가가 2.2% 상승한 점도 11월 전체 물가를 1.23%포인트 끌어올렸습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4% 상승해 11개월 연속 2%대를 나타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2.7% 상승한 가운데, 이는 2011년 12월(2.7%) 이후 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입니다.
생활물가는 0.1%의 낮은 상승률을 보였지만 채소, 과일, 어류 등 신선식품 물가는 3.0% 올랐습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아도 장을 보는 소비자들은 이를 피부로 느끼기 어려운 이유입니다.
품목별로 상승률을 보면 농축수산물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 상승했습니다.
양파값이 98.9% 급등했으며, 파(42.7%), 마늘(35.0%), 국산 쇠고기(11.9%) 값도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공업제품 물가는 올해 2월부터 9개월 연속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이다가 10개월 만에 보합세(0.0%)가 됐습니다.
내수 회복세가 확대되면서 내구재(2.0%) 가격도 상승하고 겨울이 다가와 여자외투(2.5%) 등 의류가격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휘발유(-14.9%), 경유(-19.5%), 자동차용 LPG(-22.7%) 값은 내렸지만, 전월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습니다.
전기·수도·가스는 7.1% 하락, 서비스물가에 포함된 집세는 2.2% 올랐으며, 전세가 4.0%, 월세는 0.2% 각각 올랐습니다.
공공서비스 가격은 2.0% 상승, 시내버스(9.0%), 전철(15.2%), 하수도요금(14.4%)이 오른 영향을 받았습니다.
부동산중개수수료(-2.6%)는 하락했습니다.
개인서비스 가격도 2.1% 상승했으며, 공동주택관리비(4.2%), 구내식당식사비(5.8%), 중학생 학원비(2.9%), 학교급식비(10.1%) 또한 상승했습니다.
한편 김재훈 기획재정부 물가동향과장은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국제유가 하락과 관련한 기저효과와 내수 회복세가 이어져 상승 압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