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韓 GDP대비 가계부채, 신흥국 중 최고 수준…싱가포르 홍콩 다음
입력 2015-11-22 12:03 
韓 GDP대비 가계부채
韓 GDP대비 가계부채, 신흥국 중 최고 수준…싱가포르 홍콩 다음

韓 GDP대비 가계부채가 신흥국 중 거의 최고 수준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22일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1분기 기준으로 18개 신흥국 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4%로 가장 높았다. 이는 선진국의 평균 74%를 웃도는 것은 물론, 신흥 아시아의 40%에 비해 2배에 이른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의 72%에 비해 12%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5%(작년 말 기준)에 육박해 위험한 수준이라고 IIF는 설명했다.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상환 비율(가처분 소득 중 가계부채의 원금과 이자를 갚는데 들어가는 돈의 비율)도 11.5%에 달했다.

한국의 1인당 가계부채는 3만달러에 달해 18개 신흥국 중 싱가포르(4만3천달러), 홍콩(3만2천달러) 다음으로 많았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106%로, 선진국의 90%를 크게 웃돈 것은 물론, 18개 신흥국 중 홍콩(226%), 중국(161%), 싱가포르(142%) 다음으로 높았다.

금융기업 부채 비율도 86%로 2008년 금융위기 직전 수준으로 상승했으며 18개 신흥국 중 싱가포르(212%), 홍콩(196%) 다음으로 높았다.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금융위기 전 24%에서 지난 1분기 41%로 급등해 신흥국 중 32%에서 55%로 치솟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이어 가장 가파르게 상승했다. 하지만 선진국의 정부부채 비율이 같은 기간에 66%에서 101%로 상승한 데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한국의 가계·기업·정부부채(총부채)는 올해 1분기 기준 GDP의 3배를 넘어섰다. 한국의 GDP 대비 총부채비율은 2008년 금융위기 전 272%에서 올해 1분기 317%까지 상승했다.

같은 기간에 18개 신흥국의 가계·기업·정부부채는 58조 달러로 급증해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역대 최고치인 195%까지 치솟았다.

18개 신흥국의 가계부채는 7조6천억 달러로 10년 만에 3배로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비금융 기업부채는 23조 7천억 달러로 같은 기간 5배 이상으로 빠르게 증가해 GDP 대비 90%를 넘어섰다.

韓 GDP대비 가계부채,

온라인 뉴스팀 @mkculture.com

MBN APP 다운로드